서론

나는 언젠가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구현해야 한다. 디자인 패턴처럼 시스템 아키텍처 또한 여러 문제가 있었고 문제를 해결하며 발전되었고 발전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해당 책은 여러 문제와 해결 방법을 단계적으로 정리해놓았다고 생각했다. 책을 읽으며 발전하길 바란다. 

 

수백만 사용자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은 도전적인 과제이며, 지속적인 계량과 끝없는 개선이 요구되는 여정이다. 1장은 한 명의 사용자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몇백만 사용자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설계한다.

 

단일 서버

모든 컴포넌트(웹 앱, 데이터베이스, 캐시 등)가 단 한 대의 서버에서 실행되는 간단한 시스템

 

그림 1-1

위 그림 처럼 단일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1~4 단계의 작업을 거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하며 HTML 문서를 받기도 하지만 JSON과 같은 형식의 text를 받기도 한다. JSON을 사용하는 이유는 간결함 덕분이다. 아래는 JSON의 예시이다.

요청
응답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JSON과 같은 구조화된 데이터 표현은 Go의 구조체, Java의 클래스와 비슷한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기때문에 json을 받아와 Go의 구조체 혹은 Java의 클래스에 매핑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데이터베이스

체계적으로 조직된 데이터의 집합으로 DBMS(데이터의 집합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 데이터베이스의 종류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인 RDB,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인 NoSQL 2가지가 있다. 

 

사용자가 늘면 서버 하나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서버를 여러 대 두기도 한다. 

그림 1-2

위는 웹/모바일 트래픽을 처리하는 용도의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용 서버 2대를 사용하는 모습이다. 

Why?
해당 부분을 읽으며,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각각 다른 서버에 두는 것에 대해 궁금증을 가졌다.

1.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같이 2 대 사용
2. 웹 서버 1대, 데이터베이스 서버 1대 사용

Question :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Answer : 
1. 성능 및 확장성 :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데이터의 읽기, 쓰기 작업을 처리하는 데 중점이 되어있기 때문에 고성능의 디스크 및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웹/앱 서버는 요청에 대한 동적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중점을 두며 CPU 및 네트워크 리소스를 필요로 한다. 같은 서버에서 사용 한다면 두 가지의 조건에 맞는 서버를 사용해야 하지만, 각각의 서버에서 사용한다면 필요로 하는 부분만 특화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2. 분리된 보안 및 안정성 : 데이터베이스는 주로 민감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렇기때문에 클라이언트에서 직접적인 접근을 한다면 보안상 취약할 확률이 더 높아진다. 웹/앱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근함으로써 보안이 강화된다.

3. 유지보수 및 관리의 편의성 : 1번에서 각각 필요로 하는 자원이 다르다고 했다. 각 서버를 분리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수평확장 및 수직확장을 할 수 있게된다. 이는 시스템의 복잡성을 줄이고 유지보수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다.

 

어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것인가?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에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있다고 했다. 그렇다면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RDB

  • 자료를 테이블과 열, 칼럼으로 표현하다.
  • SQL을 사용하여 여러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작한다.
  • 관계에 따라 테이블을 join하여 합칠 수 있다.
  • 많이 사용하는 RDB로는 MySQL, 오라클 DB, PostgreSQL등이 있다.

NoSQL

  • 키-값 저장소, 그래프 저장소, 칼럼 저장소, 문서 저장소로 4분류의 NoSQL이 있다.
  • join 연산을 지원하지 않는다.
  • 수평확장 가능
  • 많이 사용하는 NoSQL로는 AWS DynamoDB, Cassandra, HBase, CouchDB, Neo4j 등이 있다.

RDB를 많이 사용하지만 아래 상황의 경우 NoSQL이 더 바람직한 선택일 수 있다.

  • 아주 낮은 응답 지연시간이 요구 됨
    • NoSQL은 수평 확장이 용이하다. 요청이 많은 경우 병렬적으로 요청을 처리할 수 있기때문에 MySQL에 비해 빠른 응답이 가능
    • Redis, MongoDB 같은 인메모리 NoSQL 데이터베이스가 매우 빠른 응답 가능
  • 다루는 데이터가 비정형이라 관계형 데이터가 아님
    • NoSQL의 경우 스키마가 없거나 유연한 스키마를 가질 수 있기때문에 비정형 데이터에 적합하다.
  • 데이터를 직렬화하거나 역직렬화 할 수 있기만 하면 됨
    • NoSQL은 대부분 JSON과 같은 유연한 데이터 형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직렬화하거나 역직렬화 하는데 용이
  • 아주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할 필요가 있음
    • NoSQL은 수평 확장이 용이하다고 했다. 수직확장은 한계가 존재하지만, 수평확장의 경우 한계가 없다. 

 

수직적 규모 확장 vs 수평적 규모 확장

수직 확장 : 흔히 Scale up 이라고도 한다. 이전 사양보다 CPU, RAM 등 더 높은 사양으로 바꾸는 행위로 1대의 서버만 사용
수평 확장 : 흔히 Scale out 이라고도 한다. 같은 사양의 서버를 추가 개설하며 로드밸런서를 통해 트래픽을 적절히 분산

 

수직 확장은 트래픽 양이 적을 때 좋은 선택이다. 한 대로 관리하기 때문에 단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성능에는 한계가 있기때문에 트래픽 양이 많은 때는 좋은 선택이 되지 못한다. 또한, 서버가 장애나면 웹사이트/앱 서비스가 중단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수평 확장은 트래픽 양이 많은 때 좋은 선택이다. 무한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직 확장에 비해 복잡하다. 데이터 일관성, 분산 트랜잭션 관리, 네트워크 통신 및 로드 밸런싱 등의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

 

로드밸런서

부하 분산 집합에 속한 웹 서버들에게 트래픽 부하를 고르게 분산하는 역할

 

그림 1-3

위 그럼처럼 Client는 로드밸런서의 공개 IP 주소로 접속한다. 따라서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직접 처리하지 않는다. 더 나은 보안을 위해, 서버 간 통신에는 사설 IP 주소가 이용된다. 참고로 사설 IP 주소는 같은 네트워크에 속한 서버 사이의 통신에만 쓰일 수 있는 IP 주소이다. 

 

이렇게 부하 분산 집합에 또 하나의 웹 서버를 추가하고 나면 failover(자동복구 하지 못하는 문제)가 해소되며 가용성이 향상된다.

 

데이터베이스 다중화

가용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으로 여러 대의 서버나 저장장치에 데이터베이스를 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버 사이에 주(master)-부(slave) 관계를 설정하고 데이터 원본은 주 서버에, 사본은 부 서버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쓰기 연산(insert, update, delete)은 마스터에서만 지원한다. 부 데이터베이스는 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본을 전달받으며, 읽기 연산(get)만을 지원한다.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은 읽기 연산의 비중이 훨씬 높기때문에 부 데이터베이스의 수가 주 데이터베이스보다 많다.

 

데이터베이스를 다중화하면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 성능
    • 읽기 연산과 쓰기 연산 때 사용하는 DB가 다르고, 비교적 많이 사용 읽기 연산에 사용되는 DB가 많기 때문에 병렬적으로 빠르게 응답이 가능하다.
  • 안전성
    • 데이터베이스 서버 가운데 일부가 파괴되어도 데이터를 지역적으로 떨어진 여러 장소에 다중화시켜 놓을 수 있기때문에 데이터가 보존된다.
  • 가용성
    • 안정성에서 적은 이유와 비슷한 이유로 하나의 DB가 파괴되어도 다른 서버에 있는 DB를 가져와 서비스할 수 있다.

만약, DB 서버 중 하나가 장애가 난다면 어떻게 될까?

  • 부 서버가 1대인데 장애가 난 경우
    • 읽기 연산은 한시적으로 모두 주 데이터베이스로 전달되며, 새로운 부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장애 서버를 대체할 것이다. 
  • 주 데이터베이스가 장애가 난 경우
    • 한 대의 부 데이터베이스가 있는 경우 해당 부 데이터비스가 새로운 주 서버가 될 것이고, 모든 데이터베이스 연산은 일시적으로 새로운 주 데이터베이스가 수행할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부 데이터베이스가 추가될 것이다. 

그림 1-4

데이터베이스의 다중화까지 합치면 위와같이 동작할 것이다. 

 

캐시

참조 지역성의 원리를 이용하여 자주 참조되는 데이터를 메모리 안에 두고, 뒤이은 요청보다 빨리 처리될 수 있도록하는 저장소

그림 1-4처럼 웹 페이지를 새로고침 할 때마다 표시할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1번 이상 데이터베이스 호출이 발생한다.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은 데이터베이스를 얼마나 자주 호출하느냐에 크게 좌우되는데, 캐시는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

 

캐시 계층

별도의 캐시 계층을 두면 성능이 개선될 뿐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캐시 계층의 규모를 독립적으로 확장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1. 요청을 받은 웹 서버는 캐시에 응답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본다.
    1. 저장되어 있다면, 해당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
    2.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데이터베이스 질의를 통해 데이터를 찾아 캐시에 저장한 뒤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

위는 읽기 주도형 캐시 전략 이라고 한다. 다양한 캐시 전략이 있는데 캐시할 데이터 종류, 크기, 액세스 패턴에 맞는 캐시 전략을 선택하면 된다.

 

캐시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은 간단한데 대부분의 캐시 서버들이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API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아래는 memcached API의 사용 예이다.

SECONDS = 1
cache.set('myKey', 'hi there', 3600 * SECONDS)
cache.get('myKey')

 

캐시 사용 시 유의할 점

그렇다면 캐시에 대해 질문을 던지며 답을 알아보자.

  • 어떠한 상황에서 캐시를 사용하면 좋을까?
    • 데이터 갱신은 자주 일어나지 않지만 참조는 빈번하게 일어난다면 고려해볼만 하다. (당연)
  • 어떤 데이터를 캐시에 두어야 할까?
    • 캐시 데이터는 휘발성 메모리에 둔다. 그렇기때문에 영속적으로 보관할 데이터를 캐시에 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캐시에 보관된 데이터는 어떻게 만료되는가?
    • 이에 대한 정책을 마련해 두는 것은 좋은 습관이다. 만료 정책이 없으면 데이터는 캐시에 계속 남게 된다.
    • 캐시 메모리는 크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기간을 설정해 두는 것이 좋다. (상황에 따라서 다른 듯하다.)
  • 일관성은 어떻게 유지하는가?
    • 저장소의 원본과 캐시를 갱신하는 연산이 한 트랜잭션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일관성은 깨질 수 있다. (당연)
    • 여러 지역에 걸쳐 시스템을 확장해 나가는 경우 캐시와 저장소 사이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가 된다.
    • 이에 관해 페이스북에서 내놓은 논문 <Scaling Memcache at Facebook>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 장애는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 캐시 서버를 한 대만 두는 경우 SPOF가 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지역에 걸쳐 캐시 서버를 분산시키면 된다.
  • 캐시 메모리는 얼마나 크게 잡을 것인가?
    • 만료 방법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상황에 따라 캐시히트를 높이는 적절한 메모리를 찾아야 한다.
  • 데이터 방출 정책은 무엇인가?
    • 캐시가 꽉 차버리면 추가 데이터를 캐시에 넣기위해 기존 데이터를 방출해야 한다. 이것은 데이터 방출 정책이라고 한다. LRU, LFU, FIFO 등 여러 정책이 있고 경우에 맞게 적용하자.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정적 콘텐츠를 전송하는 데 쓰이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의 네트워크이다. 이미지, 비디오, CSS, JavaScript 파일 등을 캐시한다.

어떤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방문하면,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CDN 서버가 정적 콘텐츠를 전달하게 된다. 캐시 서버와 비슷한 느낌으로 사용자에게 빠른 응답을 주기위한 방법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주요 목적과 범위에서 차이가 있다. 캐시의 경우 특정 네트워크나 조직 내에서 사용하며 내부 사용자들에게 빠른 응답을 위해 사용한다. CDN은 전 세계적으로 분산되어 지리적으로 떨어진 사용자에게도 빠른 응답을 위해 사용한다. 

 

CDN 사용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비용
    • CDN은 제 3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며, 데이터 전송 양에 따라 요금이 부과된다. 자주 사용되지 않는 콘텐츠를 캐싱하는 것은 이득이 크지 않으므로, CDN에서 사용하지 않도록 하자.
  • 적절한 만료 시한 설정
    • 시의성이 중요한 콘텐츠의 경우 만료 시점을 잘 정해야 한다. 캐시와 비슷하다. 모든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CDN 장애에 대한 대처 방안
    • 일시적으로 CDN이 동작하지 않는다면, 원본 서버로부터 직접 콘텐츠를 가져오도록 구성해야 한다.

아래 그림 1-5는 CDN과 캐시가 추가된 설계다.

그림 1-5

 

 

무상태(stateless) 웹 계층

웹 계층을 수평적으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상태 정보를 웹 계층에서 제거해야 한다. 바람직한 선택은 상태 정보를 RDB나 NoSQL같은 저장소에 보관하는 방법이다. 

 

상태 정보 의존적인 아키텍쳐

당연하게도 상태 정보를 보관하는 서버는 상태를 유지하여 요청들 사이에 공유되도록 한다. 만약, 상태 정보를 보관한 서버가 아닌 다른 서버로 요청하는 경우 원활한 통신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드밸런서가 고정 세션이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로드밸런서에 부담을 준다.

 

무상태 아키텍쳐

상태없이 HTTP 요청이 어떤 웹 서버로 전달되도 같은 응답을 하는 아키텍쳐이다. 웹 서버는 상태 정보가 필요한 경우 공유 저장소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온다. 따라서 상태 정보는 웹 서버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그림 1-6

그림 1-6은 세션 데이터를 웹 계층에서 분리하고 지속성 데이터 보관소에 저장하도록 만들었다. 공유 저장소는 RDB, 캐시시스템, NoSQL 모든 저장소가 가능하다. 1-6에서는 NoSQL을 선택했는데 규모확장이 편리해서 지정했다. 

 

데이터 센터 

여러 개의 데이터 센터를 이용한다면 장애가 없는 상황에서 사용자는 가장 가까운 데이터 센터로 안내되는데, 이를 지리적 라우팅이라고 부른다.

그림 1-7

지리적 라우팅에서의 geoDNS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도메인 이름을 어떤 IP 주소로 변환할지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DNS 서비스이다. 만약 DC2 US-East가 심각한 장애가 발생한다면, 모든 요청은 DC1 US-East로 갈 것이다. 이러한 사례를 대처하는 다중 데이터센터 아키텍처를 만들려면 몇 가지 기술적 난제를 해결해야 한다.

 

  1. 트래픽 우회
    • 올바른 데이터 센터로 트래픽을 보내는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 
  2. 데이터 동기화
    • 데이터 센터마다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장애가 날 경우 다른 서버에 요청한다면 정상적으로 응답을 보내주기 힘든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막기위해 데이터를 여러 데이터 센터에 걸쳐 다중화하는 방법이 있다.

시스템을 더 큰 규모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컴포넌트를 분리하여, 각기 독립적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메시지 큐는 많은 실제 분산 시스템이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핵심 전략 중 하나이다.

 

메시지 큐

메시지의 무손실(durability, 메시지 큐에 일단 보관된 메시지는 소비자가 꺼낼 때까지 안전히 보관된다는 특성)을 보장하는, 비동기 통신을 지원하는 컴포넌트 

메시지 큐의 기본 아키텍처는 간단하다. 생산자 또는 발행자(producer/publisher)라고 불리는 입력 서비스가 메시지를 만들어 메시지 큐에 발행(publish)한다. 큐에는 보통 소비자 혹은 구독자(consumer/subscriber)라 불리는 서비스 혹은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데, 메시지를 받아 그에 맞는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 1-8

메시지 큐를 이용하면 서비스 또는 서버 간 결합이 느슨해져 규모 확장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안정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기 좋다. 여기서 느슨해지는 이유는 간접 통신, 비동기 통신, 유연한 인터페이스 등을 들 수 있다. 사용 예로는 사진 보정 애플리케이션을 들 수 있다. 보정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는 프로세스이므로 비동기적으로 처리하면 사용자 경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로그, 메트릭 그리고 자동화

몇 개의 서버에서 실행되는 소규모 웹 사이트를 만들 때는 로그, 메트릭, 자동화 같은 것은 하면 좋지만 꼭 할 필요는 없었다. 하지만, 규모가 커지고 나면, 이러한 도구에 필수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 로그
    • 시스템의 오류, 문제를 보다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에러 로그는 서버 단위로 모니터링 할 수도 있지만, 로그를 단일 서비스로 모아주는 도구를 활용하면 더 편리하게 검색하고 조회할 수 있다.
  • 메트릭
    • 메트릭을 잘 수집하면 사업 현황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고,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도 있다.
      • 호스트 단위 메트릭 : CPU, 메모리, 디스크 I/O
      • 종합 메트릭 : 데이터베이스 계층의 성능, 캐시 계층의 성능
      • 핵심 비즈니스 메트릭 : 일별 능동 사용자, 수익, 재방문
  • 자동화
    • 시스템이 크고 복잡해지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자동화 도구를 활용해야 한다. 지속적 통합을 도와주는 도구, 빌드, 테스트, 배포 등의 절차를 자동화하면 개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메시지 큐, 로그, 메트릭, 자동화 등을 반영하여 수정한 설계안

그림 1-9

 

데이터베이스의 규모 확장

저장할 데이터가 많아지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부하도 증가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를 증설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데이터베이스의 규모를 확장하는 데는 수직 확장, 수평 확장 2가지가 있다. 

 

수직적 확장

위에 적었 듯 수직적 확장은 서버를 보다 고성능의 자원으로 교체하는 것이다. 가령 AWS의 RDS는 24TB RAM을 갖춘 서버도 상품으로 제공하고 있다. 많이 사용했던 스택오버플로(stackoberflow.com)는 2013년 한 해 동안 방문한 천만 명의 사용자 전부를 단 한 대의 마스터 데이터 베이스로 처리했다. 하지만, 이러한 수직적 접근법에는 몇 가지의 심각한 단점이 있다.

  1. 무한하지 않은 CPU, RAM의 자원.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면 한 대의 서버로는 결국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다.
  2. SPOF로 인해 서비스가 중단될 가능성이 있다.
  3. 비용. 고성능 서버로 갈수록 가격이 크게 올라간다.

이러한 단점들로 인해 대규모 시스템을 설계하는 기업들에서는 수평적 확장을 사용하는 듯하다.

 

수평적 확장

데이터베이스의 수평적 확장은 샤딩(sharding)이라고도 부른다. 데이터베이스 수평적 확장은 더 많은 서버를 추가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다. 샤딩은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샤드(shard)라고 부르는 데 이를 작은 단위로 분할하는 기술을 일컫는다. 모든 샤드는 같은 스키마를 쓰지만 샤드에 보관되는 데이터 사이에는 중복이 없다.

그림 1-10

위는 샤딩의 사례 중 하나이다. user_id % 4를 해시 함수로 사용하여 데이터가 보관되는 샤드를 정하는 것이다. 

 

샤딩 전략을 구현할 때 고려해야할 가장 중요한 것은 샤딩 키를 어떻게 정할지이다. 샤딩 키는 파티션 키라고도 부르는데, 데이터가 어떻게 분산될지 정하는 하나 이상의 칼럼으로 구성된다. 위의 경우 샤딩 키는 user_id이다. 샤딩 키를 정할 때는 데이터를 고르게 분할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샤딩은 데이터베이스 규모 확장을 실현하는 훌륭한 기술이지만 완벽하지 않다. 샤딩을 도입하면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풀어야할 새로운 문제가 생긴다.

  • 데이터 재 샤딩
    • 재 샤딩은 아래와 같은 경우에 필요하다.
      1. 데이터가 많아져 하나의 샤드로는 감당하기 어려울 때
      2. 샤드 간 데이터 분포가 균등하지 못해 샤드 소진(shard exhaustion)이라고도 부르는 현상이 나타날 때 -> 안정 해시 기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안정 해시 기법은 이후 5장에서 설명한다고 한다.)
  • 유명인사 문제
    • 특정 샤드에 질의가 집중되어 서버에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
    • 가령 저스틴 비버, 레이디 가가 같은 유명인사가 전부 같은 샤드에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read 연산이 하나의 샤드에만 집중되어 과부하가 될 수 있다.
  • 조인과 비정규화
    •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를 여러 샤드 서버로 쪼개고 나면, 여러 샤드에 걸친 데이터를 조인하기가 힘들어진다. 이를 해결하는 한 가지 방법은 데이터베이스를 비정규화하여 하나의 테이블에서 질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림 1-11

그림 1-11은 샤딩까지 적용한 아키텍처이다.

 

백만 사용자, 그리고 그 이상

시스템의 규모를 확장하는 것은 지속적이고 반복적(iterative)인 과정이다. 해당 글의 내용을 반복하다 보면 원하는 규모의 시스템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수백만 사용자 이상을 지원하려면 새로운 전략을 도입해야 하고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가다듬어야 할 것이다. 예를들어, 시스템을 최적화하고 더 작은 단위의 서비스로 분할해야 할 수도 있다.

 

위의 내용들을 다시 한 번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1. 웹 계층은 무상태 계층
  2. 모든 계층에 다중화 도입
  3. 가능한 한 많은 데이터를 캐시할 것
  4. 여러 데이터 센터를 지원할 것
  5. 정적 콘텐츠는 CDN을 통해 서비스 할 것
  6. 데이터 계층은 샤딩을 통해 그 규모를 확장할 것
  7. 각 계층은 독립적 서비스로 분할할 것
  8.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자동화 도구를 사용할 것

 

 

 

Reference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 문제

입력으로 호텔을 예약하는 사람들의 "시작 시간", "종료 시간"이 String 배열로 주어진다.

 

운영자는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이 겹치는 사람의 최대 수 만큼 객실을 운영하여 비용을 최소로 하려고 한다. 겹치는 고객의 최대 수를 구해보자.

 

  • 풀이

문제를 보자마자 생각한 방법은 dp인가? 누적합인가? 하는 방식이다.

 

입력은 HH:MM으로 주어지고 최대 시간은 23:59이다. 이를 int형으로 바꾸면 HH*60+MM으로 최대로 가질 수 있는 int 값은 1439이지만 청소 시간을 추가해야한다. 청소시간은 10분으로 10을 더한 값인 1449가 최대로 가질 수 있는 시간 값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시간값은 배열의 인덱스로 가질 수 있는 값임을 인지했다. 

 

먼저 String 배열을 한바퀴 돌며 int형 배열시작 시간 index에 +1, 종료시간 +10한 값에 -1을 하면 배열을 한 바퀴 돌 때 겹치는 고객의 최대 수를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파단해본 알고리즘으로 문제를 가정해보자. 아래 "시작 시간", "종료시간 + 청소시간"을 가진 고객 4명이 주어졌다.

"1", "9"

"2", "8"

"3", "7"

"7", "9"

아래는 위 의 4개의 고객이 존재할 때, 구현된 표이다.

index 1 2 3 4 5 6 7 8 9
배열 값 1 1 1 0 0 0 0 -1 -2
누적합 1 2 3 3 3 3 3 2 0

index 3부터 고객 3명이 함께 사용할 때 누적합의 값이 3을 가진다. index 7 때는 종료 고객 1명, 시작 고객 1명이 겹쳐서 고객 3명이 그대로 유지하는 모습이다.

 

이처럼 판단한 알고리즘 대로 구현하면 O(1440) 정도의 시간으로 문제를 정확하게 풀어낼 수 있다.

 

  •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book_time) {
        int answer = 0;
        int[] dp = new int[1450];
        for(int i = 0; i < book_time.length; i++) {
            int start_time = getStringToTime(book_time[i][0]);
            int end_time = getStringToTime(book_time[i][1])+10;
            dp[start_time]++;
            dp[end_time]--;
        }
        
        for(int i = 1; i <= 1440; i++) {
            dp[i] += dp[i-1];
            answer = Math.max(answer, dp[i]);
        }
        return answer;
    }
    
    public int getStringToTime(String s) {
        String[] t = s.split(":");
        return Integer.parseInt(t[0])*60+Integer.parseInt(t[1]);
    }
}

 

 

 

 

최근의 언어처리계라면 대부분 JSON 파싱은 표준 라이브러리로 처리할 수 있다. Go 언어도 표준 라이브러리에 encoding/json 패키지가 있어, JSON을 파싱할 수 있다.

 

대부분 JSON 파서는 객체형가 사전형 등 내장형 인스턴스를 생성하지만, Go 언어의 JSON 파서는 그와 달리 미리 만들어놓은 구조체에 대응하는 파서로 되어 있다. Go 언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체를 이용한 파싱을 알아보자.

 

1.0 Go 언어의 구조체 태그를 사용한 JSON 파싱

[도서 정보 JSON을 구조체로 변환]

package main

import (
	"encoding/json"
	"fmt"
)

type Book struct {
	Title string `json:"title"`
	Author string `json:"author"`
}

var jsonString = []byte (`
[
	{"title": "The Art of Community", "author": "Jono Baacon"},
	{"title": "Mithril", "author": "Yoshiki Shibukwa"}
]`)

func main() {
	var books []Book
	err := json.Unmarshal(jsonString, &books)
	if err != nil {
		panic(err)
	}
	for _,book := range books {
		fmt.Println(book)
	}
}

출력

 

1.1 생략됐는지 또는 제로 값인지 판정

 Go 언어는 변수를 반드시 기본값으로 초기화한다. 숫자 값인 경우는 0, 문자열이면 빈 문자열 ""로 초기화된다. 

type EditHistory struct {
	Id int `json: "id"`
	Name string `json: "name"`
	Price int `json: "price"`
}

위 구조체에 json.Unmarshal을 사용해 값ㄷ을 읽어오면, 가격이 0으로 설정된 것인지, 애초에 JSON에 포함되지 않았는지 구별할 수 없다. 이때, 포인터 변수로 만들어두면, JSON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는 nil인지 판정할 수 있게 된다.

type EditHistory struct {
	Id int `json: "id"`
	Name *string `json: "name"`
	Price *int `json: "price"`
}

 

1.2 특별한 형 변환을 하고 싶을 때

JSON과 프로그램에서 다루고 싶은 표현이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JSON에는 날짜를 나타내는 데이터형이 없지만, 프로그램 안에서는 각 언어의 날짜 표현 클래스나 구조체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런 때는 직접 형을 정의하고 UnmarshalJSON() 메서드를 정의해서 형 변환을 구현할 수 있다. Go 언어에서 이 메서드를 가진 구조체는 json.Unmarshaler 인터페이스를 충족한다. Go 언어의 파서는 이 인터페이스를 가진 오브젝트에서는 이 변환 메서드를 사용한다.

[형 변환]

type DueDate struct {
	time.Time
}

func(d *DueDate) UnmarshalJSON(raw []byte) error {
	epoch, err := strconv.Atoi(string(raw))
	if err != nil {
		return err
	}
	d.Time = time.Unix(int64(epoch), 0)
	return nil
}

우선 type 선언으로 time.Time이 들어간 DueDate형을 만들었다. 이것으로 time.Time의 메서드도 모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UnmarshalJSON() 메서드를 재정의한다. 이 메서드에는 바이트열이 전달되므로, 그 형의 규칙에 따라 해석하고 인스턴스를 초기화한다. 여기 전달되는 값은 에폭타임이므로 먼저 초를 나타내는 수치 형으로 변환하고, time.Unix() 함수로 time.Time 구조체의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이제 해당 구조체를 사용할 구조체를 만든다. 아래를 참고하자.

type ToDo struct {
	Task string `json:"task"`
	Time DueDate `json:"due"`
}

var jsonString2 = []byte(`[
	{"task": "Go 언어 공부", "due": 140600200},
	{"task": "Java 언어 공부", "due": 140600400}
]`)

func main() {
	var todos []ToDo
	err := json.Unmarshal(jsonString2, &todos)
	if err != nil {
		panic(err)
	}
	for _,todo := range todos {
		fmt.Println(todo)
	}
}

UnmarshalJSON()을 구현하는 위치는 개개의 데이터 형뿐만 아니라, 하나 위 계층의 ToDo 구조체에 부여할 수도 있다.

 

2.0 JSON 응용하기

2.1 출력 시 출력을 가공하기

json_output처럼 구조체의 인스턴스를 json.Marshal()에 전달하면 JSON을 출력할 수 있다.

[JSON으로 출력하기]

	d, _ := json.Marshal(Book{"눈을 뜨자! JavaScript", "Cody Lindley"})
	log.Println(string(d))

출력

구조체에 붙인 태그는 읽기뿐만 아니라 쓰기에도 이용된다.

 

UnmarshalJSON()을 정의해 읽기 처리를 사용자화한 것처럼 MarshalJSON() 메서드를 정의하면 쓰기 처리도 사용화할 수 있다. ToDo에 종료 플래그 Done을 더해서 출력 시에 완료 항목은 JSON에서 제외하도록 해보자.

 

ToDo 배열을 ToDoList라는 형으로 선언하고, 이 형의 MarshalJSON을 정의한다. Go 언어에서는 type을 이용해 기존의 형 등을 바탕으로 새로운 형을 만든다. 배열도 형으로 만들 수 있다. 조금 전에 만든 Due 구조체에도 출력 변환 함수도 만들어두자.

[MarshalJSON 정의]

// 날짜 시리얼라이즈
func (d * DueDate) MarshalJSON() ([]byte, error) {
	return []byte(strconv.Itoa(int(d.Unix()))), nil
}

type ToDoList []ToDo

// 리스트를 필터링해서 시리얼라이즈
func (l ToDoList) MarshalJSON() ([]byte, error) {
	tmpList := make([]ToDo, 0, len(l))
	for _, todo := range l {
		if !todo.Done {
			tmpList = append(tmpList, todo)
		}
	}
	return json.Marshal(tmpList)
}

 

2.2 상황에 따라 형이 변하는 JSON 파싱

JSON이 단순한 구조체에 매핑할 수 있으면 되지만, API에 따라서는 유연한 해석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반환되는 JSON의 data 속성은 이벤트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JSON이라는 데이터를 다룰 때 객체지향으로 설계된 공통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다른 종류의 오브젝트가 들어가는 경우는 있을 수 있다. 이 경우는 json.Unmarshal(), json.RawMessage로 극복할 수 있다. 

{
    "created": 14422888882,
    "data": {
        "email": null,
        "id": "cus_a16c7b03492343de4",
        "object": "customer"
    },
    "id": "event_54b3dfe32452435ccf",
    "object": "event",
    "type": "customer"
}

형이 정해지지 않은 데이터는 json.RawMessage로 해둔다. 이것은 []byte의 별칭이다. 파싱 도중에 일시정지한 상태가 일단 저장된다. 나머지는 종류별 변환 메서드를 준비해두면 사용자는 파싱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type Event struct {
	Created EpochDate `json:"create"`
	Data json.RawMessage `json:"data"`
	Id string `json:"id"`
	Object string `json:"object"`
	Types string `json:"type"`
}

 

만약 공통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면, 공개용과 읽기 쓰기용 구조체를 나눠 대응할 수 있다. Data에는 공통 인터페이스를 가진 구조체가 들어간다. 이쪽이 코드는 길어지지만, Go언어가 갖춘 형에 의한 분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용하는 쪽 코드는 Go 언어다워 진다.

 

2.3 일반 데이터형으로 변환

조금 더 간단하게는 구조체 선언을 하지 않는 방법도 있다. Go언어에서 베리언트 형으로서 사용되는 interface() 형을 사용하면, 파서가 JSON의 데이터 구조에 맞는 인스턴스를 생성해준다.

[interface()로 json 데이터 받기]

func main() {
	var books []interface{}
	err := json.Unmarshal(jsonString, &books)
	if err != nil {
		log.Fatal(err)
	}
	for _, book := range books {
		log.Println(book)
	}
}

위 코드는 JSON에 어떤 배열이 들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interface{} 배열을 전달하고 있다. 물론, 오브젝트가 오는 것을 알고 있으면, map[string]interface{}를 사용할 수도 있다. JSON 규격에서는 자바스크립트와 같은 형을 사용하기에 수치는 float64밖에 없다. 따라서 정수로 다룰 수가 없다.

 

실제 코드 안에서 처리하려면 형 변환을 해야 한다. Go 언어의 형 변환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특정 형식이 올 것을 알고 있을 경우는 변수 하나로 결과를 받을 수 있지만, 만약 다른 형의 데이터가 들어오면 오류를 일으켜 프로그램이 종료되어 버린다. 두 번째 형식이라면, 만약 다른 형이 들어온 경우에는 ok 변수에 false가 들어가는 대신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진 않게 된다. 

 

어느 형이 오는지 모르는 때는 switch 문을 사용할 수 있다. JSON을 트리형 데이터의 표현에 이용하는 경우는 이 방법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 특정 형으로 캐스팅하기 (1)
	bookList := books.([]interface{})

	// 특정 형으로 캐스팅하기 (2)
	bookMap, ok := books.(map[string]interface{})

	// switch 문
	switch v := value.(type) {
	case bool:
		log.Println("bool", value)
	case float64:
		log.Println("float64", value)
	case string:
		log.Println("string", value)
	case map[string]interface{}:
		log.Println("map[string]interface{}", value)
	case []interface{}:
		log.Println("[]interface{}", value)
	}

 

2.4 JSON 스키마

Go 언어의 JSON 라이브러리는 구조체에 대한 매핑을 하므로, 빠르게 변환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불행히도 그것을 보장하는 기능은 없다. 읽어들인 JSON과 구조체의 키가 일치하지 않아도, JSON 문법이 이상하지 않은 이상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예상대로 키가 있는지 검증은 구조체에 대한 매핑이 아니라 스키마를 사용한 확인이 필요하다. 

 

Go 언어의 표준 라이브러리에는 없지만, JSON 스키마 검증을 시행할 타사 라이브러리가 있다.

해당 github에 사용방법이 꽤 자세하게 나와 있다.

 

 

 

 

 

Reference

  • 리얼월드 HTTP

1.0 RESTful API

오래전 매시업이라는 단어가 많이 사용됐다고 한다. 구글 지도를 비롯해 클라이언트에서 처리할 수 없는 대용량 데이터, 날씨 정보 등 관칙 시스템에서 보내는 실시간 정보를 취급하는 웹 서비스가 많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서비스는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졌지만, API도 제공하고 있어 웹 서비스를 조합해 사용할 수도 있다. 웹 서비스를 결합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방법을 '매시업'이라고 한다. 이렇게 웹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로서 HTTP를 기반으로 한 서버/클라이언트 간 통신이 널리 이용되게 되었다. 

 

REST는 로이 필딩 씨가 2000년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논문에서 발표한 것이다. 필딩 씨는 HTTP 책정에도 관여했고, 아파티 웹 서버 프로젝트의 공동 설립자 중 한 사람이기도 하다. REST는 매시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웹이 브라우저에서 웹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계를 위한 것으로 용도가 넓어지면서 알려지고 사용되기 시작했다. 구글의 디자인 가이드에 따르면, 2010년에는 전 세계의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된 API의 74%가 REST API로 되어 있다.

 

REST는 HTTP 신택스를 프로토콜의 토대로 사용했는데, 통신의 시맨틱도 HTTP를 따르자는 생강기다. 대략적으로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 API가 웹 서버를 통해 제공된다.
  • GET /users/[사용자 ID]/repositories처럼 경로에 메서드를 보내 서비스를 얻는다.
  • API가 성공했는지 스테이터스 코드로 클라이언트에 알려준다.
  • URL은 리소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현이고, 서비스의 얼굴로서 중요하다.
  • 필요에 따라 GET 매개변수, POST의 바디 등 추가 정보를 보낼 수도 있다.
  • 서버에서 오는 반환값으로는 JSON 또는 XML과 같은 구조화 텍스트나 이미지 데이터 등이 반환되는 경우가 많다.

클라이언트 관점에서는 서버에서 아래와 같은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URL은 리소스의 계층을 나타낸 경로로 되어있다. 명사로만 구성된다.
  • 리소스에 대해 HTTP 메서드를 보내 리소스 취득, 갱신, 추가 등의 작업을 한다.
  • 스테이터스 코드를 보고 요청이 제대로 처리됐는지 판정할 수 있다.
  • GET 메서드는 여러 번 호출해도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
  • 클라이언트 쪽에서 관리해야 할 상태가 존재하지 않고, 매번 요청을 독립적으로 발행할 수 있다.
  • 트랜잭션은 존재하지 않는다.

REST 원칙을 준수한 것을 RESTful이라고 표현한다.

 

1.1 REST API와 RPC의 차이

웹 서비스와 인터페이스 설계 아키텍처는 REST만이 아니다. RPC에 따른 API와 REST에 따른 API는 설계 철학이 다르다. 

 

RPC의 경우 URL은 하나로, 요청할 때 서비스 이름과 메서드 이름을 전달해 '무엇을 할 것인가' 지정한다. 객체지향적 관점에서 설명하면, 웹 서버를 통해 공개된 정적 오브젝트의 인스턴스를 URL을 통해 발견하고 그 메서드를 호출한다고 비유할 수 있다. 호출하는 창구는 URL 하나이며, HTTP 메서드는 모두 POST이다. 서버에 대한 요청은 모두 바디에 넣어 보낸다. HTTP 서버의 로그를 보더라도 동일한 URL에 대한 액세스가 있다는 것밖에는 알 수 없다.

 

REST로 정보를 갱신할 때는 수정된 리소스를 첨부해서 '이걸로 덮어쓰라'고 전송한다. GET으로 가져올 수 있는 실제 리소스 이외에는 모두 메타데이터이다. 메타데이터의 취득과 수정은 헤더로 한다.

 

RPC의 경우는 데이터든 메타데이터든 똑같이 다룬다. 변경이나 응답은 전용 명령을 사용한다. 실제 동작은 API로 구현하기 나름이지만, 리소스 자체를 그대로 전송하는 디자인은 거의 없다.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어떤 표현이 다루기 쉬운지 이름적으로는 정할 순 없다. 최근에는 드롭박스가 API를 버전 업하며 REST API를 버리고 RPC로 변경했다는 소식이 화제가 됐다.

 

1.2 Web API와 트랜잭션

RPC의 경우 트랜잭션과 비슷한 API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트랜잭션이 필요한 단위로 원자적인 API를 제공하는 것이 현재 현실적인 해법이다.

 

JSON-RPC는 여러 요청을 배열로 모아 동시에 발행할 수 있다. 키 값 스토어 Redis API의 멀티를 사용하면 여러 명령을 묶어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RPC가 모두 이러한 호출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렇게 여러 명령을 원자적으로 (도중에 끼어들지 못하게) 실행하면 간단한 트랜잭션처럼 다룰 수 있다. 데이터를 가져와서 가공하고 다시 데이터베이스에 넣으려면 여러 명령을 묶는 것만으로는 실현할 수 없어, 도중에 인터럽트가 발생해 병렬 처리 특유의 문제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Redis는 Lua를 사용해 서버 측에서 처리함으로써 이런 경우에 대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MongoDB는 단순한 증가보다도 복잡한 데이터 가공을 하나의 쿼리 호출로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둘 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양쪽에서 API 구현이나 이용에 드는 수고가 적지 않다. 트랜잭션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복잡한 구현이 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가능한 한 원자 레벨로 API르르 나누는 것이다. Redis와 MongoDB는 일반 저장소로서 작은 단위의 API가 제공되지만, 웹 API는 가급적 한 번에 끝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RPC의 경우 아파치 스리프트나 구글 gRPC 등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소스 코드 생성기를 사용해 구현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는 여러 요청을 동시에 발행할 수도 없다. 이 점은 HTTP도 마찬가지다. HTTP도 한 번의 액세스에 하나의 메서드가 호출된다. 복수의 요청을 원자적으로 실행할 수는 없다. HTTP/2에서는 호출 순서와 API 서버에서 처리되는 순서 또는 응답이 돌아오는 순서가 같다는 보증도 없어진다.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모아서 한꺼번에 처리하고 싶은 대상이 있다고 해도, 그에 해당하는 API가 반드시 있고, 그 API 하나만 호출하면 필요한 일을 할 수 있는 형태가 이상적이다. 하지만 이 이상에도 제약이 있다. "Web API: The Good Parts"에서는 다수의 불특정 개발자를 위한 API를 LSUDs라는 말로 설명한다. 다수가 사용하는 API에서는 유스 케이스를 좁힐 수 없어, 아무리 해도 크기가 작은 API 집합으로 할 수 밖에 없다. 

 

1.3 HATEOAS

HATEOASHypermedia As The Engine Of Application State는 REST의 일부인 '인터페이스의 일반화'를 사양으로 만든 것이다. 리소스 간의 관련 정보와 리소스의 조작 링크를 응답에 포함시킴으로써 리소스의 자가서술력을 향상시킨다. REST API의 성숙도 수준에서 최상위에 위치한다.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xml
Content-Length: ...

<?xml version="1.0"/>
<account>
    <account_number>12345</account_number>
    <link rel="deposit" href="https://example.com/account/12345/deposit" />
    <link rel="withdraw" href="https://example.com/account/12345/withdraw" />
    <link rel="transfer" href="https://example.com/account/12345/transfer" />
    <link rel="close" href="https://example.com/account/12345/close" />
</account>

위는 HATEOAS의 예제이다. <link> 태그로 주어진 정보가 HATEOAS를 위해 추가된 것으로, 이 오브젝트에 대해 실행할 수 있는 작업과 관련 오브젝트의 링크를 포함한다. API에 대한 사전 지식이 전혀 없이 링크를 따라가는 것만으로 API의 기능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브라우저로 웹사이트를 탐색할 때도 페이지의 내용을 보고 링크를 따라가며 원하는 페이지를 찾는다. 그런 일을 API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 HATEOAS가 이상으로 하는 상태이다.

 

1.4 RESTful와 REST-ish

REST API는  계층화된 리소스이다. 예를들어, URL에 동사가 들어가거나 /api 문자가 들어가고, 포맷을 나타내는 문자(/json)나 버전이 들어가는 등 원래는 리소스의 주소여야 하는 URL에 불필요한 정보가 들어가는 사례도 볼 수 있다. REST를 제안한 필딩 씨는 이렇게 설계된 웹 서비스가 'REST'를 자칭하면, 격렬하게 공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기본적으로는 REST를 지키고 싶지만, 완전히 RESTful하게 됐는지 자신이 없을 때가 있다. 그럴 때는 'REST-ish'라고 부르는 방법이 있다.

 

2.0 메서드

REST API를 이용할 때는 서비스가 지정하는 메서드를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메서드는 GET, POST, PUT, DELETE, PATCH, HEAD, OPTIONS로 7가지이다. 이 중 자주 사용되는 것은 GET, POST, PUT, DELETE 4가지이다.

 

HTTP 사양에서 메서드의 분류에는 '안전'과 '멱등'이라는 두 가지 지표가 있다. '안전'은 실행해도 리소스를 변화시키지 않는 것이다. '멱등'은 서버의 리소스는 변경되지만, 몇 번을 실행해도 결과가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다. GET, HEAD, OPTIONS는 안전한 메서드이고, PUT, DELETE는 멱등한 메서드로 정의되어 있다. RESTful한 API에서도 이 규칙을 따라야 한다.

 

 

3.0 스테이터스 코드

API를 이용할 때 스테이터스 코드는 상세한 오류 내용이나 서버의 상황을 알려주는 귀중한 정보원이 된다. 오류 발생 시 어떤 스테이터스 코드를 반환할 것인지는 서비스에 따라 차이가 있고, 오류 유형 별로 반환할 스테이터스 코드 목록을 문서로 제공하기도 한다. 

 

3.1 100번대 (정보)

100번대는 성공이나 실패가 결정되기 이전 상태라는 것을 나타낸다.

  • 100 Continue
  • 101 Switching Protocols
  • 102 Processing
  • 103 Early Hints

둘 다 바디는 포함하지 않는다. 

 

3.2 200번대 (성공)

정상 종료했을 때 200번대의 응답이 반환된다.

  • 200 OK
  • 201 Created
  • 202 Accepted
  • 203 Non-Authoriative Information
  • 204 No Content
  • 205 Reset Conent
  • 206 Parial Content
  • 207 Multi-Status
  • 208 Already Reported
  • 226 IM Used

 

3.3 300번대 (리디렉트)

  • 300 Multiple Choices
  • 301 Moved Permanently
  • 302 Found
  • 303 See Other
  • 304 Not Modified
  • 307 Temporary Redirect
  • 308 Permanent Redirect

 

3.4 400번대 (클라이언트 오류)

400번대 스테이터스 코드는 클라이언트에서 기인하는 오류이다. 요청할 URL이 틀렸거나 필요한 헤더가 부족할 때 등등 반환된다.

 

400 번대의 스테이터스 코드는 너무 많은 관계로 궁금하다면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3.5 500번대 (서버 오류)

500번대 스테이터스 코드는 서버 오류로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클라이언트 요청에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서비스를 받으려면 서버가 복구될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500 번대의 스테이터스 코드도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4.0 바디

바디에는 서버로부터 반환된 정보가 저장된다. 웹 API가 공개되기 시작한 무렵은 거의 XML이였지만, 최근은 JSON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RESTful API의 엄격한 규칙을 따른다면, Accept: application/json 헤더를 부여하고 서버와 니고시에이션하는 것이 관습이지만, JSON만 지원하는 경우라면 헤더를 부여하지 않아도 서버는 응답해줄 것이다.

 

5.0 실제 REST API 살펴보기 (PAY.jp)

깃허브나 슬랙 등 많은 서비스가 REST API를 제공한다. 브라우저로 조작할 필요가 있었떤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PAY.jp라는 결제 플랫폼이 있다. 해당 API 이용자는 토큰을 사용해야한다. 웹사이트에 로그인하면 액세스 토큰을 생성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다. 대부분이 OAuth2를 자주 사용하고 있고 해당 플랫폼도 OAuth2를 사용한다. 사용자 ID와 암호를 사용하지 않고 토큰을 사용하는 이유는 만약 유출이 되어도 토큰 단위로 무효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토큰을 어떻게 서비스 전달할지는 서브시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PAY.jp는 BASIC 인증의 사용자 이름으로 전달한다. BASE64로 인코딩된 액세스 토큰을 Authorization 헤더에 넣어 서버에 전달한다.

 

PAY.js의 통신 프로토콜은 HTTPS, 메서드는 GET/POST/DELETE, 응답 형식은 JSON으로 제공한다. 

 

6.0 실제 REST API 살펴보기 (Github)

구글이 Go 언어용 깃허브 API 액세스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므로 직접 액세스해볼 필요는 없을지도 모르지만, 모범 코드가 있으니 확인해보자. 링크에 잘 정리가 되어있으니 확인해보고 싶으면 살펴봐도 좋다.

 

7.0 REST API에 액세스할 때 주의할 점

7.1 타임아웃

클라이언트를 작성할 때 Context를 넘겨주곤한다. 이 Context는 취소 처리, 시간 만료 등을 통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Go 언어 1.7부터 도입됐다. 비동기인 여러 기능을 실행하거나 Goroutine을 넘어선 처리를 실행할 때 바텀업으로 타임아웃 처리를 하려고 하면, 읽기 편한 코드를 쓸 수 없다. 또한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진 처리를 할 때도 Context 자체가 데이터를 가질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세션 간에 공유하는 데이터 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아래 코드는 2초 후 타임 아웃이 된다. 함수를 빠져나올 때 cancel()을 호출한다. 

import (
	"context"
	"time"
)

func timeout() {
	ctx, cancel := context.WithTimeout(context.Background(), 2*time.Second)
	defer cancel()

	// 타임아웃 기능이 있는 클라이언트
	oauth2.NewClient(ctx, conf.TokenSource(ctx, token))
	// 긴 처리
}

 

7.2 액세스 수 제한

어떤 웹 서비스든 1초당 호출 횟수의 상한이 정해져 있따. 대개 1초에 10회 정도로 설정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액세스 속도를 조정하는 패키지가 준표준 라이브러리에 있다.

  • https://godoc.org/golang.org/x/time/rate
$ go get golang.org/x/time/rate

 

rate 패키지를 이용한 액세스 수 제한 (go 코드)

package main

import (
	"context"
	"time"

	"golang.org/x/time/rate"
)

func main() {
	// 1초당 상한 횟수
	RateLimit := 10
	// 토큰의 최대 보유 수
	BucketSize := 10
	ctx := context.Background()
	e := rate.Every(time.Second/RateLimit)
	l := rate.NewLimiter(e, BucketSize)

	for _, task := range tasks {
		err := l.Wait(ctx)
		if err != nil {
			panic(err)
		}
		// 여기서 task 실행
	}
}

 

 

 

 

Reference

  • 리얼월드 HTTP

1.0 기존의 공격

'기존'이라고 하는 것은 브라우저를 겨냥한 공격이 아니라는 뜻으로 저자가 부르는 것일 뿐, 일반적인 분류는 아니라고 한다. 기존형은 브라우저 외부인 OS에 접근하는 것이 특징이다. 컴퓨터에 위협을 주는 소프트웨어를 '맬웨어'라고 한다. 맬웨어는 증식 방법이나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증식 방법으로는 다른 실행 파일 등을 감염시켜 감염된 파일이 실행되면 다른 프로그램에도 자기 복제해서 증가하는 '컴퓨터 바이러스'와 적극적으로 네트워크 장비나 OS의 보안 취약점을 공격해 감염을 펼치는 '웜'이 있다. USB 메모리 같은 자동 실행 구조를 악용하거나 언뜻 분간하기 어려운 파일 이름이나 오피스 애플리케이션의 매크로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어떤 프로그램이든 실행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으므로, 이 맬웨어들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아도 실행되도록 계획한다. 바이러스처럼 다른 프로그램을 변조해, 그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 실행되는 일도 있다. 웜의 경우 숙주가 없을 수도 있다. 이 경우 OS 부팅 스크립트나 레지스트리에 자신을 등록한다.

 

공격 방법도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예전에는 단순히 OS를 부팅할 수 없게 만들거나 속도가 느려지게 하는 등 파괴가 목적인 것이 있었다. 그 외에는 OS 설정을 마음대로 바꿔 프록시 서버를 설정해서 통신 내용을 훔쳐보거나 키 입력을 기록해 암호를 훔치려는 것도 있다. 또 외부에서 원격 조작하기 위해 백도어를 설치하는 맬웨어도 있다. 이런 맬웨어는 특정 웹사이트의 서비스를 방해할 목적으로 일제히 대량의 요청을 보내버리는 DDos 공격의 발판이 될 수도 있다. 키 입력을 기록하는 것을 '키로거', 백도어를 만드는 것을 '트로이 목마'라고 부르는 등 행동에 따라 다양한 분류가 있다. 단 공격 수법이 서서히 인지되어 이름이 붙은 것도 있어, 이름이나 정의가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기존형으로 부르지만, 오래돼 더는 사용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 브라우저 플러그인의 보안 허점 등을 통해 언제든 컴퓨터에 대한 공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에 소개할 브라우저를 노린 공격의 전 단계로서 웹 서버에 침입해 전송할 데이터를 악의적인 스크립트로 변경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사용자 정보를 훔칠 수 있다. 현재도 표적형 공격 메일로 대표되는 악성 프로그램을 전송해 이루어지는 공격은 중대한 위협 중 하나이며, 웹 서비스 개발자가 서비스를 보호하는 데 위협이라는 점은 변함이 없다.

 

 

2.0 브라우저를 노리는 공격의 특징

브라우저는 원래 '열람용 애플리케이션'이므로, OS 영역에서 뭔가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브라우저는 다른 서비스에 연결되는 창이다. 브라우저가 표적이 되고 브라우저에 저장된 다양한 웹사이트의 로그인 정보가 노출될 경우, 페이스북이나 라인 등 외부 서비스에 저장된 개인 정보 혹은 대화 내용 등을 도둑맞을 수 있다. 

 

웹 서비스에서는 최근 두드러지게 발전한 프론트엔드 기술과 여러 사이트를 가로지르는 계정 연계, HTTPS/HTTP의 혼재 등 개발자가 알아야 할 사양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다. 개별 보안 기능이 강력해도 웹 서비스 등 구현상의 실수나 착각 등으로 보안에 구멍이 생긴다. 정규 웹사이트에서 HTTP를 통해 전송된 문서 안에 함정이 설치되기도 한다. 

 

브라우저 벤더는 보안에 민감하다. HTTP 사양에는 보안에 대한 배려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리퍼러 설명에도 소개했지만, 기존 기능이라도 보안을 고려하여 기능이 수정되는 경우도 있다. 

 

3.0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웹 서비스 개발자가 가장 먼저 주의해야하는 많은 공격의 기점이 되는 공격 방법이다. 게시판 등 사용자 입력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아무런 필터링 없이 공개하는 것이 가장 발생하기 쉬운 시나리오이다. 만약, '이름을 넣어주세요'라는 텍스트 상자가 있고, 거기에 데이터를 입력했다고 가정해보자. 이름은 다른 사용자도 볼 수 있다. 웹 서비스 쪽 프로그램에서 입력된 값을 전혀 확인하지 않고 HTML에 그대로 넣어 출력할 경우, 이름 대신 악의적인 스크립트가 삽입된 채로 게시되면 그 콘텐츠를 보는 사람의 브라우저에서 그대로 실행된다. 이를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으로 줄여서 XSS라고 한다.

 

실제로 아래와 같은 내용이 삽입됐다고 하면, 이름을 볼 때마다 경고 대화 상자가 표시된다.

<script>alert("error");</script>

이것이 다른 모든 공격의 기점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예를들어 투입된 스크립트가 쿠키에 액세스되면, 다른 서버로 전송되어 쿠키 정보가 유출된다. '로그인됨'이라는 세션 토큰을 도둑맞으면, 사용자 ID와 암호가 없어도 '로그인 상태'를 가로챌 수 있다. 또한 로그인 폼이 해킹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다른 서버로 전송해버리거나 피싱 사이트로 전송되는 등 온갖 위험이 있다.

 

서버 측의 방어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그대로 HTML로 출력하는 일은 하지말자. 사용자 입력은 악의적인 입력이 들어올 것으로 보고 그대로 출력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이를 막기 위해 새니타이즈(입력 전)와 이스케이프(출력 전)하는 방법이 있는데, 현재는 이스케이프라는 출력 직전에 깨끗하게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라고 한다.

 

3.1 유출 방지 쿠키의 설정

XSS의 다음 방어선으로 httpOnly 속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있다. 이 속성을 부여하면 자바스크립트에서 액세스할 수 없는 쿠키가 된다. XSS 공격자는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액세스할 수 없는 정보에는 접할 수 없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에 의한 세션 토큰 누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3.2 X-XXS-Protection 헤더

X-XXS-Protection 헤더를 사용하면 HTML의 인라인에서 스크립트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 등 명확하게 수상한 패턴을 감지한다. X-가 붙은 비공식 헤더이지만, 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사파리 등의 브라우저가 지원한다. 단순한 패턴 매칭에 의한 판정이므로, 문제가 없는 코드 패턴을 '문제 있음'으로 판정하는 이른바 긍정 오류가 될 가능성이 있다.

 

3.3 Content-Security-Policy 헤더

웹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세밀하게 ON/OFF를 할 수 있는 강력한 기술로 W3C에 의해 정의됐다. 웹사이트에 필요한 기능을 서버에서 설정하여 XSS처럼 자바스크립트가 에상치 못한 동작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브라우저 환경에서는 헤더로 옵트인되지만, 크롬 OS 등에서 사용되는 크롬 앱은 Content-Security-Policy 지원이 필수로 되어있다.

 

Content-Security-Policy는 브라우저가 실시하는 검사이다. 오류는 클라이언트 쪽에 표시되지만, 서버 개발자가 그 오류 정보를 직접 볼 수는 없다. 오류 보고서를 보낼 곳을 지정해 클라이언트가 오류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서버 개발자도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한 문제를 알 수 있다.

 

3.4 Content-Security-Policy와 자바스크립트 템플릿 엔진

자바스크립트가 널리 사용되고, 서버에서 하던 많은 일을 브라우저 환경에서 처리하게 되었다. 그 하나는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의 HTML 템플릿이 있다.

 

Hogan.js는 트위터가 만든 자바스크립트용 템플릿 엔진이다. Mustache 템플릿 엔진과 같은 문법을 지원하지만, 고속으로 동작한다. 컴파일하면 템플릿을 해석해 내부 함수를 호출하는 소스 코드를 생성하고, 최종적으로 new Function을 사용해 함수를 동적으로 생성한다. 이로써 실행 시에 파싱 처리가 필요 없어지고, 옵션 전개와 문자열 결합에 특화되므로 문자열을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인 Vue.js가 있다. 버전 2.0에서는 런타임 버전과 독립실행형 버전 두 가지로 출시됐다. 둘 사이의 차이는 아래와 같다.

  • 독립실행형 버전은 template 옵션에 문자열로 HTML 템플릿을 작성할 수 있다. 이 템플릿은 실행 시에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변환되고 new Function을 사용해 render() 메서드가 만들어진다.
  • 런타임 버전은 template 옵션을 사용할 수 없다. 사전에 vue-loader(WebPack 용) 및 vueify(Browserify 용)에서 자바스크립트 소스 코드를 브라우저 환경용에 최적화하고 사전에 render() 메서드를 만들어둘 필요가 있다.

당연한 일이지만, new Function은 CSP(Content-Security-Policy)의 unsafe-eval 지시문에서 허용하는 문자열의 함수 동적 생성에 해당하므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런 템플릿 엔진은 Content-Security-Policy를 따를 때 장애가 된다. 

 

3.5 Mixed Content

웹의 HTTPS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광고나 외부 서비스가 제공하는 콘텐츠 등으로 HTTP가 뒤섞이는 수가 있다. 요즘 브라우저는 이런 Mixed Content의 경우 오류 또는 경고를 내보내게 되어 있다. 

 

근본적으로 모든 것을 HTTPS로 수정하는 이외의 대처 방법 중 하나로서, CSP 헤더의 upgrade-insecure-request 지시문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지시문을 사용하면 이미지 등의 링크가 http://로 시작되는 URL이라도 https://라고 적혀 있는 것처럼 가지러 간다. 하지만, 요즘은 naver, google 등이 프로토콜을 모두 h2 혹은 h3를 사용해서 사용될 일은 없을 것 같다..

 

4.0 중간자 공격

프록시 서버가 통신을 중계할 때 통신 내용을 빼내 정보가 누설되는 문제이다. HTTP 그대로 웹사이트의 로그인 폼을 이용해 로그인하면,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도둑맞게 된다. 로그인을 시도하지 않아도 세션 토큰을 훔쳐가면, 보호받아야 할 정보에 액세스를 허용하게 된다. 이런 중간자 공격을 방지하려면 HTTPS(TLS)를 이용하는 수밖에 없다. TLS는 '통신 경로를 신뢰할 수 없는' 상태에서도 보안을 유지하면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이다. 이로써 통신 내용 감청, 통신, 변조,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의도하지 않은 요청 전송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서버에 대한 해킹이나 브라우저에 대한 XSS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세션 토큰이 쿠키로 저장되어 있어 조건(URL)이 맞으면 전손 요청 시 쿠키가 부여된다. XSS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서버가 쿠키를 부여할 때 secure를 지정해 TLS로 통신 경로가 보호될 때만 전송하므로 중간자 공격에 대한 내성이 높아진다.

 

4.1 HSTS

중간자 공격에 대항하는 HTTP의 기능 중 하나가 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HSTS)이다. HSTS는 서버 측에서 접속할 때 HTTPS로 접속해 달라고 전달하는 기능이다. 서버에서 HTTP를 통해 접속을 요청하고 싶을 때는 다음과 같은 헤더를 응답 헤더에 부여한다. includeSubDomains가 브라우저에 서브 도메인도 대상임을 전달한다. 물론 이 헤더를 반환할 때 동시에 리디렉션할 수도 있다.

Strict-Transport-Security: max-age=31536000;includeSubDomains

브라우저 내부에는 이 헤더를 보낸 URL의 데이터베이스가 있다. 브라우저가 지정된 사이트에 액세스할 때 자동으로 HTTPS 사이트에 접속하러 간다. 유효 기간 동안만 이 지시가 생존한다. 위 예시에서는 31,536,000초로 1년간 전송할 것을 브라우저에 의뢰한다.

 

HSTS에는 단점이 있다. 처음 연결할 때는 아직 HTTPS 로 접속하련느 서버의 지시가 도달하지 않은 상태이다. 그래서 첫 접속은 HTTP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악의적인 프록시가 리디렉션 URL을 변조하면, 브라우저가 피싱 사이트로 유도될 가능성이 있다. TLS에는 서명이 있어서 변조되면 탐지할 수 있지만, 첫 번째 접속이 HTTP를 통해 이루어질 경우 브라우저에서 공격을 탐지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방호벽이 추가됐다. 크롬은 처음부터 이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해두려고 정보를 수집한다. 웹사이트에 신청해두고 최신 브라우저를 다운로드하면, 처음부터 HTTPS로 접속하게 된다. RFC에는 없지만, 이곳에 신청한 경우에는 preload 지시문을 Strict-Transport-Security 헤더에 부여한다.

 

4.2 HTTP 공개 키 피닝

TLS 인증서에는 디지털 서명을 위한 공개 키가 붙어 있다. 이 공개 키를 사용해서 인증서를 검증한다. 피닝은 핀으로 고정한다는 의미이다. 공개 키 목록을 처음 액세스할 때 받아와서 로컬에 핀으로 꼽아 저장해둔다. 두 번째 이후로 액세스할 때는 서버가 보낸 인증서의 공개 키와 고정해둔 공개 키를 비교해 사이트 인증서가 무단으로 변경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5.0 세션 하이재킹

이름 그대로 웹 서비스의 세션 토큰을 훔쳐 웹사이트에 로그인하는 공격이다. 일반 웹 서비스의 경우, 처음에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받은 후 로그인했음을 나타내는 세션 토큰을 쿠키로 브라우저에 보낸다. 브라우저가 이 쿠키를 저장하면 두 번째 이후 액세스부터는 사용자 이름과 암호가 필요 없어진다. 이 세션 토큰을 도난당하면 로그인된 상태로 웹 사이트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이름 암호가 유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쿠키를 훔치는 행위의 발판이 되는 것이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과 중간자 공격이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러한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 세션 하이재킹을 피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 HTTPS화
  • Set-Cookie: httpOnly, secure

 

5.2 쿠키 인젝션

stateless한 HTTP에서 브라우저의 상태를 보존하는 쿠키는 편리한 반면, 항상 공격의 위험과 등을 맞대고 있다. 쿠키에 특화된 공격 방법도 발견됐다. 쿠키 인젝션을 그 중 하나이다.

 

쿠키 인젝션은 쿠키의 사양을 역으로 취한 방법으로 HTTPS 연결을 우회할 수 있다. 발표 당시의 공격 수법은 HTTPS로 은닉된 도메인의 쿠키에 대해 HTTP가 아닌 다른 하위 도메인으로부터 덮어쓰거나, 보다 URL의 상세한 쿠키를 설정함으로써 원래 HTTPS로 지정된 도메인의 쿠키를 무효화하고 세션 고정화 공격의 발판으로 하는 것이다. 

 

2017/3 크롬 및 파이어폭스는 쿠키 인젝션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다. 서브 도메인에서 재구성할 수 없게 되어 있고, 동일한 도메인이라도 secure가 붙은 쿠키는 HTTP에서 덮어 쓸 수 없다. 

 

6.0 사이트 간 요청 위조

피해자에게 의도하지 않는 조작을 하게 만드는 공격이 사이트 간 요청 위조(CSRF)이다. 본인이 의도하지 않은 서버에 요청을 관계없는 페이지나 사이트에서 보내게 할 수 있다. 실제로 요청을 보내는 것은 공격자가 아니라 피해 사용자이며, 웹 브라우저가 유도된 페이지에 대해서도 쿠키를 발행하므로 로그인 상태는 유지된다. 이로써 피해 사용자의 권한으로 임의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일본에서도 다른 사용자에게 살해 예고를 하도록 조작해서 무고한 사람을 범인으로 만드는 삭너이 일어난 적이 있었다. 이때도 CSRF가 이용됐다. 

 

6.1 CSRF 대책 토큰

CSRF를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HTTP 스테이트리스성을 제한하는 방법이 자주 사용된다. 폼을 설정할 때 숨겨진 필드에 무작위로 생성한 토큰을 집어넣고, POST 요청을 받은 서버 쪼겡서 올바른 토큰이 포함되지 않은 모든 요청을 거절하는 방법 등이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는 이 토큰을 생성하거나 토큰을 검증하는 미들웨어가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브라우저 쪽에서는 CSRF 대책 토큰인지 아닌지 신경쓰지 않고, 저너송된 폼을 그대로 반환하기만 하므로 특별한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덧붙여 각 사용자의 고유한 값이라고 하면 세션 토큰이 떠오르지만, 세션 토큰을 CSRF 대책 토큰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쿠키는 httpOnly로 보호할 수 있지만, CSRF 대책 토큰 구현 방법으로 자주 사용되는 것은 숨겨진 필드이므로 보호하지 못하고 자바스크립트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6.2 SameSite 특성

크롬에서 쿠키에 해당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 특성을 부여하면 요청을 보내기 전의 페이지가 같은 사이트에 없는 한 쿠키를 보내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하면 무관한 사이트에서 요청할 수 없으므로 CSRF를 방지할 수 있다. 

 

7.0 클릭재킹

클릭재킹 사례는 두 가지 모두 IFRAME을 이용한다. 하나는 트위터 등 자주 사용되는 웹사이트를 투명하게 하여 악의적인 페이지 위에 겹치는 방법이다. 사용자가 볼 때는 악의적인 페이지가 표시된다. 예를들어, 클릭 유도 버튼을 자주 사용하는 웹사이트에서 로그아웃, 소셜 네트워크 공유 등의 버튼에 맞춰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채 유도된 작업을 하게 된다. 사이트 간 요청 위조와 같은 공격이 실제 사이트에 대해 직접 실행된다.

 

7.1 X-Frame-Options 헤더

IFRAME 내부에 표시될 뿐이지 웹사이트 쪽에서 보면 사용자의 조작은 평소와 같으므로, 사이트 간 요청 위조 같은 조치는 취할 수 없다. 브라우저의 클릭재킹 방지 기능으로는 X-Frame-Options 헤더가 있다. 악용되는 것을 막고 싶은 정규 사이트 쪽에서 이 헤더를 전송하면 페이지가 IFRAME내에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브라우저는 이 헤더를 보고 적절하게 표시를 거절함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한다.

 

8.0 리스트형 계정 해킹

보안에 취약한 웹 서버가 해킹당해 사용자 ID 및 일반 텍스트로 저장된 비밀번호가 유출되면, 같은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를 돌려쓰는 사용자의 보안은 무효가 된다는 것이다. 

 

2FA, 지오로케이션 등을 이용해서 방지할 수는 있다. 하지만, 와벽하게 막을 수 없기때문에 사용자가 신경써서 서비스마다 다른 암호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견고한 보안 대책이다.

 

9.0 웹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보안 가이드라인

  • X-Frame-Options 헤더
  • Content-Security-Policy 헤더
  • Strict-Transport-Security 헤더
  • Public-Key-Pins 헤더
  • Set-Cookie 헤더
  • CSRF 대책 토큰
  • 2단계 인증
  • 지오IP
  • X-Content-Type-Options 헤더
  • X-XSS-Protection 헤더

 

10.0 웹 광고 및 보안

TV 광고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람의 취향을 생각하지않고, 똑같은 광고를 일률적으로 내보내는 구조이다. 반면에 웹 광고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같은 사이트에서도 사용자마다 광고를 다르게 내보낼 수 있다. 효율적으로 사용자의 관심을 끄는 광고를 내보내려면, 어떤 사용자가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정보를 얻는 것이 이상을 실현하는 열쇠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방문한 URL 목록을 가져와 사용자의 취향을 추정한다. 광고가 사용자에게 ID를 할당하고, 광고 업자가 추적하는 웹사이트를 사용자가 방문했다는 정보를 기록해 점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열람 기록을 복원하는 기술이다. 

 

기술에는 쿠키 기반 측정 방식과 핑거 프린트 방식이 있다. 하지만, 방문한 웹사이트의 기록 정보가 개인 정보에 해당한다. 웹 브라우저 업체는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웹 광고의 역사는 보안과 투쟁의 역사이다. 

 

10.1 서드파티 쿠키

쿠키에는 퍼스트파티 쿠키, 서드파트 쿠키가 있다. 브라우저가 액세스한 서비스가 해당 서비스 내에서만 유효한 쿠키를 퍼스트파티 쿠키, 광고 등의 용도로 외부 서비스에서 읽을 수 있는 쿠키를 삽입해, 사이트를 넘어서 행동 추적을 가능하게 해주는 쿠키가 서드파티 쿠키라고 한다.

 

한 사이트에 쿠키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사이트를 방문하는 경우라면 해당 사이트 서버로 쿠키가 직접 전송되며, 그 시점에서 사용자가 과거에 방문했던 정보를 모아서 가져올 수 있다.

 

10.2 쿠키 이외의 대체 수단

클라이언트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수단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쿠키에 세션 토큰을 기록하는 방법이다. 쿠키의 경우 보안 강도에 따라 무시하거나 재설정하거나 화긴하는 수단도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재설정하기 어려운 쿠키 흉내를 낼 수 있다. 이를 좀비 쿠키라고 한다.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 이러한 쿠키를 조작하는 라이브러리로 에버쿠키도 있다. 

  • HTML5의 각종 스토리지 (세션, 로컬, 글로벌)
    • 서버에 액세스해 ID를 취득하고 브라우저의 쿠키 영역이 아니라 브라우저가 따로 준비한 스토리지에 저장함으로써 쿠키와 같은 기능을 실현 
  • ETag
    • 절대로 변하지 않는 이미지 파일 등의 ETag에 사용자 ID를 넣어 클라이언트에 전송함으로써 실현
  • 임의로 생성한 이미지
    • 픽셀 단위로 색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ID 값을 여러 픽셀의 색 정보로서 삽입
  • 기타 플래시나 실버라이트, 자바 애플릿 등의 저장 영역

이러한 수단을 사용하면 어느 샌가 ID가 삽입되어 행동이 감시당할 우려가 있다. 

 

10.3 구글 애널리틱스

광고 이외에도 사용자 식별에 의미가 있는 경우가 있다. 사용자의 방문 기록을 가져오는 구글 애널리틱스가 해당된다. 구글 애널리틱스의 경우 웹사이트에 자바스크립트를 설치한다.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사용해 웹사이트는 자신의 도메인 안에서 움직인다는 전제로 퍼스트파티 쿠키로서 ID 정보를 쿠키에 저장한다.

 

10.4 사용자를 특정하지 않고 추정

익스페리언의 AdTruth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쿠키 등으로 ID를 브라우저에 심어서 이용하는 방법과 다르다. IP 주소나 브라우저가 보낼 유저 에이전트 정보 등 외부에서 관츨할 수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기의 동일성을 추측하는 방법으로 핑거 프린트 방식이다. 클라이언트 쪽에는 어떠한 정보도 가지지 않고, 서버 쪽에서 추정 한 ID를 바탕으로 광고를 게재한다. 익스페리언의 웹사이트에 따르면 아래 정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

  • CPU, 시스템 설정 언어, 유저 에이전트, 사용자 설정 언어, 기본 언어 설정
  •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코드명, 브라우저 이름, 버전, 언어
  • 브라우저 플러그인
  • 시스템 시각, 스크린 설정, 폰트 높이
  • 도메인, 로컬 시간, 시간대

지오IP에 가까운 정보같다. 그러나 이 기법은 미국에서는 잘 동작하는 것 같지만, 타 지역에서는 정확도에 문제가 있다고 한다.

 

 

 

 

Reference

  • 리얼월드 HTTP

1.0 HTTP/2

Go 언어는 2016년 2월에 발표된 1.6 버전부터 기본으로 HTTP/2 지원이 내장되어 있다. HTTPS 통신을 한다고 설정하는 것만으로, NPN/ALPN 니고시에이션 후보에 HTTP/2를 나타내는 h2가 추가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 니고시에이션에서 상대방이 HTTP/2를 지원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면 HTTP/2로 통신한다.

 

[HTTP 프로토콜 버전 확인 (Go 코드)]

package main

import (
	"fmt"
	"net/http"
)

func main() {
	resp, err := http.Get("https://google.com/")
	if err != nil {
		panic(err)
	}
	defer resp.Body.Close()
	fmt.Printf("Protocol Version: %s\n", resp.Proto)
}

출력

 

당연히 Go 언어의 HTTP/2 지원은 환경 변수로 제어할 수 있다. (GODEBUG 환경 변수를 통해 제어 가능)

환경 변수를 통해 version을 설정한 결과물

 

2.0 HTTP/2의 서버 푸시

Go 언어는 1.8부터 서버 푸시를 지원했다.

 

[서버 푸시 이용 방법 (Go 코드)]

func handler(w http.ResponseWriter, r *http.Request) {
	pusher, ok := w.(http.Pusher)
	if ok {
		pusher.Push("/style.css", nil)
	}
	// 일반 이벤트 핸들러 처리
}

청크 형식의 전송 지원에서는 http.ResponseWriter를 http.Flusher로 캐스팅해 특수한 메서드 Flush()에 액세스했지만, HTTP/2의 서버 푸시는 http.Pusher로 캐스팅해 사용한다.

 

[서버 푸시 구현]

package main

import (
	"fmt"
	"io/ioutil"
	"net/http"
)

var image []byte

// 이미지 파일 준비
func init() {
	var err error
	image, err = ioutil.ReadFile("./image.png")
	if err != nil {
		panic(err)
	}
}

// HTML을 브라우저로 송신
// 이미지를 푸시한다.
func handlerHtml(w http.ResponseWriter, r *http.Request) {
	// Pusher로 캐스팅 가능하면(HTTP/2로 접속했다면) 푸시한다.
	pusher, ok := w.(http.Pusher)
	if ok {
		pusher.Push("/image", nil)
	}
	w.Header().Add("Content-Type", "text/html")
	fmt.Fprintf(w, `<html><body><img src="/image"></body></html>`)
}

// 이미지 파일을 브라우저로 송신
func handlerImage(w http.ResponseWriter, r *http.Request) {
	w.Header().Set("Content-Type", "image/png")
	w.Write(image)
}

func main() {
	http.HandleFunc("/", handlerHtml)
	http.HandleFunc("/image", handlerImage)
	fmt.Println("start http listening :18888")
	err := http.ListenAndServe(":18888", nil)
	fmt.Println(err)
}

테스트

핸들러는 HTML과 이미지를 모두 준비하고 있다. HTML에 액세스가 있을 때 이미지의 URL을 푸시한다.

 

Push() 메서드의 첫 번째 인수에 경로를 전달한다. 내부 동작으로는 의사적으로 서버 액세스를 발생시켜 /image.png 콘텐츠를 얻으면, PUSH_PROMISE 프레임으로 클라이언트에 보낸다. HTTP/1.1 코드와의 차이는 Pusher로 캐스팅하고 가능하다면 푸시하는 부분뿐이다. 최소한의 업데이트로 서버 푸시에 대응할 수 있고, 캐스팅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코드라면 호환성이 있으므로 HTTP/1.1 환경에서도 동작한다. 

 

GODEBUG=http2server=0을 지정해서 HTTP/1.1에서 동작시켰을 때의 결과와 비교해보자. 크롬 개발자 도구의 네트워크 탭을 열어 비교해볼 수 있다. 왼쪽은 HTTP/1.1, 오른쪽은 HTTP/2 환경이다.

 

tls를 추가해 http/2 테스트는 이후에 해보자.

 

HTTP/1.1에서는 요청을 보낸 후 다은로드가 끝날 때까지 1.1밀리초 정도 걸린다. 또한 요청을 전송할 준비가 될 때까지의 대기시간도 2밀리초 걸린다. HTTP/2는 이미 다운로드가 끝나 로컬에 저장했기 때문에 큐에서 읽기만 하면 된다. 0.3밀리초정도 소모된다.

 

3.0 server-sent events

server-sent event는 청크 방식의 응용으로 http.Flusher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3.1 서버 구현

소수를 계속 표시하는 서비스를 만들어보자. 두 개의 파일로 나누어 구현한다.

  • 서버
  • HTML 뷰

우선은 서버 쪽이다. Go 언어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확률론적으로 소수를 구하는 메서드 ProbableyPrime()을 사용한다.

[서버 코드]

package main

import (
	"fmt"
	"io/ioutil"
	"math/big"
	"net/http"
	"time"
)

var html []byte

// HTML을 브라우저에 송신
func handlerHtml(w http.ResponseWriter, r *http.Request) {
	// Pusher로 캐스팅 가능하면 푸시
	w.Header().Add("Content-Type", "text/html")
	w.Write(html)
}

// 소수를 브라우저에 송신
func handlerPrimeSSE(w http.ResponseWriter, r *http.Request) {
	flusher, ok := w.(http.Flusher)
	if !ok {
		http.Error(w, "Streaming unsupported!", http.StatusInternalServerError)
		return
	}
	
	closeNotify := w.(http.CloseNotifier).CloseNotify()
	w.Header().Set("Content-Type", "text/event-stream")
	w.Header().Set("Cache-Control", "no-cache")
	w.Header().Set("Connection", "keep-alive")
	w.Header().Set("Access-Control-Allow-Origin", "*")

	var num int64 = 1
	for id := 1; id <= 100; id++ {
		// 통신이 끊겨도 종료
		select {
		case <- closeNotify:
			fmt.Println("Connection closed from client")
			return
		default:
		// do nothing
		}
		for {
			num++
			// 확률론적으로 소수를 구함
			if big.NewInt(num).ProbablyPrime(20) {
				fmt.Println(num)
				fmt.Fprintf(w, "data: {\"id\": %d, \"number\": %d}\n\n", id, num)
				flusher.Flush()
				time.Sleep(time.Second)
				break;
			}
		}
		time.Sleep(time.Second)
	}
	// 100개가 넘으면 송신 종료
	fmt.Println("Connection closed from server")
}

func main() {
	var err error
	html, err = ioutil.ReadFile("index.html")
	if err != nil {
		panic(err)
	}
	http.HandleFunc("/", handlerHtml)
	http.HandleFunc("/prime", handlerPrimeSSE)
	fmt.Println("start http listening :18889")
	err = http.ListenAndServe(":18888", nil)
	fmt.Println(err)
}

정적 HTML을 반환하는 handler와 server-sent events 전송하는 handler를 정의했다. 

 

[뷰(index.html)]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 />
    <title>소수</title>
    <script src="//unpkg.com/mithril/mithril.js"></script>
    <script src="//unpkg.com/mithril-stream"></script>
  </head>
  <body>
    <div id="root"></div>
    <script>
      const component = {
        oninit: function (vnode) {
          this.primes = stream([]);
          const sse = new EventSource("/prime");
          sse.onmessage = (event) => {
            this.primes().splice(0, 0, JSON.parse(event.data));
            m.redraw();
          };
        },
        view: function () {
          return m("div", [
            m(
              "ul",
              this.primes().map((prime) => {
                return m("li", { key: prime.id }, prime.number);
              })
            ),
          ]);
        },
      };
      m.mount(document.getElementById("root"), component);
    </script>
  </body>
</html>

예제는 간결하게 표현하려고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일대일로 되어 있다. 실제로는 채팅방 등 웹을 방문하는 여러 사용자 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그룹 간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보내고자 사용자마다 만든 메시지, 클로즈 알림 채널을 배열로 관리해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구조 등을 만들게 될 것이다.

 

3.2 클라이언트 구현

server-sent events는 구분 문자가 줄 바꿈이라는 것을 미리 알고 있는 청크 형식이므로, 이전에 배운 클라이언트 구현 방법 중 간편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server-sent events 클라이언트 코드]

package main

import (
	"bufio"
	"bytes"
	"context"
	"fmt"
	"io"
	"net/http"
	"os"
)

type Event struct {
	Name string
	ID string
	Data string
}

func EventSource(url string) (chan Event, context.Context, error) {
	req, err := http.NewRequest("GET", url, nil)
	if err != nil {
		return nil, nil, err
	}
	ctx, cancel := context.WithCancel(req.Context())
	res, err := http.DefaultClient.Do(req)
	if err != nil {
		return nil, nil, err
	}
	if res.StatusCode != 200 {
		return nil, nil, fmt.Errorf("Response Status Code should be 200, but %d\n", res.StatusCode)
	}
	events := make(chan Event)
	go receiveSSE(events, cancel, res)
	return events, ctx, nil
}

func receiveSSE(events chan Event, cancel context.CancelFunc, res *http.Response) {
	reader := bufio.NewReader(res.Body)
	var buffer bytes.Buffer
	event := Event{}
	for {
		line, err := reader.ReadBytes('\n')
		if err != nil {
			close(events)
			if err == io.EOF{
				cancel()
				return
			}
			panic(err)
		}
		switch {
		case bytes.HasPrefix(line, []byte(":ok")):
			//skip
		case bytes.HasPrefix(line, []byte("id:")):
			event.ID = string(line[4 : len(line)-1])
		case bytes.HasPrefix(line, []byte("event:")):
			event.Name = string(line[7 : len(line)-1])
		case bytes.HasPrefix(line, []byte("data:")):
			buffer.Write(line[6:])
		case bytes.Equal(line, []byte("\n")):
			event.Data = buffer.String()
			buffer.Reset()
			if event.Data != "" {
				events <- event
			}
			event = Event{}
		default:
			fmt.Fprintf(os.Stderr, "Parse Error: %s\n", line)
			cancel()
			close(events)
		}
	}
}

func main() {
	events, ctx, err := EventSource("http://localhost:18888/prime")
	if err != nil {
		panic(err)
	}
	for {
		select {
		case <- ctx.Done():
			return
		case event := <-events:
			fmt.Printf("Event(ID=%s, Event=%s): %s\n", event.ID, event.Name, event.Data)
		}
	}
}

 

 

4.0 웹소켓

Go 언어용 웹소켓 구현은 여러 종류가 있다. 준표준 라이브러리(pkg.go.dev/golang.org/x/net/websocket)도 있지만, 이 준표준 라이브러리의 README에는 비 추천이라고 쓰여있다. 대체 라이브러리로 추천되는 것이 Go 언어의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Gorilla에서 제공하는 웹소켓 구현이다. 이 라이브러리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다 갖추고 있다.

사용법은 링크를 따라 들어가자.

 

4.1 서버 구현

[서버의 HTTP 핸들러 내에서 업그레이드]

var upgrader = websocket.Upgrader{} // use default options

func echo(w http.ResponseWriter, r *http.Request) {
	c, err := upgrader.Upgrade(w, r, nil)
	if err != nil {
		log.Print("upgrade:", err)
		return
	}
}

필수 헤더를 몇 개 꺼내 검증한 후,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절에서 소개한 http.Hijacker 메서드로 내부 소켓을 추출한다.

 

Upgrade() 메서드 내용

	h, ok := w.(http.Hijacker)
	var rw *bufio.ReadWriter
	notConn, rw, err = h.Hijack()

다음과 같은 응답 헤더를 포함하는 통신 응답을 작성한다. 그다음은 이 소켓을 직접 사용해 응답을 반환한다. 이것으로 업그레이드는 완료다. websocket.Conn은 net.Conn과의 호환성은 없지만, 비슷한 메서드를 몇 가지 갖추고 있다.

HTTP/1.1 101 Switching Protocols
Upgrade: websocket
Connection: Upgrade

업그레이드 완료 후, 통신에서 주로 사용하는 메서드는 다음 두 가지이다. 메시지 종류를 받고 반환하는 것 이외에는 net.Conn의 Read(), Write() 메서드와 같다.

 

[사용 방법]

// 쓰기 메서드
ws.WriteMessage(messageType int, data []byte) error

// 읽기 메서드
ws.ReadMessage() (messageType int, data []byte, err error)

 

 

4.2 클라이언트 구현

Go 언어의 표준 라이브러리 net.Dial을 본뜬 API로 간단히 접속할 수 있게 됐다.

 

[웹소켓의 클라이언트 코드]

c, _, err := websocket.DefaultDialer.Dial(u.string(), nil)

ULR을 인수로 전달하면, 서버 절에서 소개한 것과 같은 websocket.Conn 소켓이 반한된다. 나머진 서버와 완전히 똑같은 API를 사용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서 하는 일은 서버와 마찬가지로 프로토콜 업그레이드이다. net.Requset 구조체를 사용해 GET의 HTTP 요청을 상대의 URL이 가리키는 서버에 보낸다. 응답으로 스테이터스 코드 101이 오는지 확인한 후, 필요한 헤더를 가져와 클라이언트의 소켓 구조체를 초기화한다.

 

4.3 방의 구현

server-sent events든 웹소켓이든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이용한다면 방 기능을 구현해야 한다. 해당 예제에서는 같은 URL에 액세스한 사람은 같은 방에 들어가지만, 대규모 서비스면 방에 들어가는 멤버를 선택하기 위한 로비도 필요하다.

 

Gorilla의 chat 예제에서는 'Hub'라는 이름의 방을 구현한다.

[방 구현]

type Hub struct {
	// 등록된 클라이언트
	clients map[*Client]bool
	//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메시지
	broadcast chan []byte
	// 클라이언트의 등록 요청
	register chan *Client
	// 클라이언트의 말소 요청
	unregister chan *Client
}

// 초기화 후에 goruntine으로 실행되는 메서드
func (h *Hub) run() {
	for {
		select {
		case client := <-h.register:
			h.clients[client] = true
		case client := <-h.unregister:
			if _, ok := h.clients[client]; ok {
				delete(h.clients, client)
				close(client.send)
			}
		case message := <- h.broadcast:
			for client := range h.clients {
				select {
				case client.send <- message:
				default:
					close(client.send)
					delete(h.clients, client)
				}
			}
		}
	}
}

초기화 시 클라이언트 목록을 관리하는 map과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비동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채널이 세 개(메시디, 등록, 말소) 있다. 메시지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메시지를 보내면 관리하는 모든 클라이언트의 소켓에 포워드한다. 접속 및 종료 처리도 하고 있다.

 

 

 

 

Reference

  • 리얼월드 HTTP

1.0 반응형 디자인

이전 유저 에이전트 정보를 보고 모바일, 웹 등을 구분하여 콘텐츠를 배포하는 방식이 주류였다. 현재는 작은 화면에 적합한 레이아웃 또는 테블릿의 가로와 세로에 각각 최적인 레이아웃 등 다양한 경우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반응형 디자인이다.

 

2.0 시맨틱 웹

웹에서 표면적인 '텍스트', '문서'가 아니라 '의미'를 다룰 수 있게 해서 웹의 가능성을 더욱 넓히고자 하는 운동이다. 웹의 아버지인 팀 버너스리가 주장했다. 시맨틱 웹에서 '의미를 다룬다'는 것은 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해서 정보를 집약하거나 검색하는 과정을 사람 손을 거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데이터를 정규화해 프로그램에서 접근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1. RDF

시맨틱 웹의 최초로 URI로 식별되는 엔티티 간의 관계성을 기술한다. 

 

2. 더블린 코어

컴퓨터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알기 쉬운 용어로 제안. 자원은 대부분 누군가의 저작물인 경우가 많은데,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저작물 특유의 특성을 정의. 오픈 eBook이라는 규격에 포함되는 파일 목록과 서적 정보를 담은 OPF 파일이라는 EPUB 파일의 핵심 파일이 있다. 해당 파일의 dc:로 시작하는 메타데이터가 더블린 코어의 구성 요소이다.

 

3. RSS

RDF의 응용 사례로서 가장 성공한 것으로 웹사이트의 업데이트 기록 요약에 관한 배급 형식이다.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업데이트하면 블로그 엔진과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자동으로 업데이트 한다. 이 RSS 파일에는 새로운 순서대로 신규 콘텐츠의 요약이 저장된다.

 

4. 마이크로포맷

RDF와 달리 HTML 태그와 클래스를 사용해 표면해 간다. 웹사이트 간의 공유 용어집(스키마)을 카탈로그화해서 정보 유통을 활성화한다. 자세한 내용은 microformats.org에 집약되어 있다.

 

5. 마이크로데이터

WHATWG, W3C 등에서 논의돼 온 HTML에 삽입 가능한 시맨틱 표현 형식이다. 마이크로포맷과 마찬가지로 어휘집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도 검색 엔진이 지원한다. 마이크로포맷과 다리 기존 HTML 속성과 충돌하지 않도록 고유 속성을 사용한다. 

 

6. RDF의 역습

RDF 자체는 널리 사용되지 않았지만, 이후에 여러가지 파생 포맷이 만들어졌고 schema.org에 대량의 어휘집이 게재되어 있다. schema.org에서는 예제 데이터로 마이크로데이터, RDFa, JSON-LD 세 종류를 게재했다. 구글이 추천하는 포맷으로서 향후 가장 많이 이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 JSON 형식의 JSON-LD이다. 

 

 

3.0 오픈 그래프 프로토콜

오픈 그래프 프로토콜은 소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메타데이터로, 소셜 네트워크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자랑하는 페이스북이 개발했다. 오픈 프로토콜이 설정된 웹사이트의 URL을 SNS 등에 붙여 넣으면 기사의 일부가 인용되고 이미지도 표시된다. 티스토리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아래 사진과 같이 링크를 붙였을 때 나타난다.

오픈 그래프 프로토콜은 더블린 코어, link-rel canonical, 마이크로포맷, RDFa에 영감을 받았다고 되어 있으므로 시맨틱 웹의 자손이라고 볼 수 있다.

 

4.0 AMP

휴대 기기에서 웹페이지의 로딩 속도를 빠르게하는 방법이다. 네트워크 환경이 나쁜 나라에서는 극적인 사용자 경험 향상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어떤 페이지에서나 속도가 빨라지는 것은 아니고, 구글에서 말하길 뉴스, 요리법, 영화 목록, 제품 페이지, 리뷰, 동영상, 블로그 등 모든 유형의 정적 웹 콘텐츠에서 효능이 있다고 한다. 

 

5.0 HTTP 라이브 스트리밍에 의한 동영상 스트리밍 재생

HTTP 라이브 스트리밍(HLS)은 애플이 2009년에 제창한 동영상 스트리밍 재생 방식이다. HLS의 내부는 매우 단순하다. WWDC 2016에서 HLS를 소개한 세션의 페이지는 <video> 태그를 사용한다. 

 

5.5 HLS의 장점과 단점

HLS의 장점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통신에 특수한 프로토콜이 아니라 전 세계 라우터가 지원하는 HTTP를 사용하는 점이다. 만약, 특수한 프로토콜이라면 전용 서버를 설치하고 통신할 포트를 열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HLS는 HTTP이므로 일반 웹 서버와 동일한 서버를 사용할 수도 있고,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스트리밍'라고 자칭하지만, 실체는 점진적 다운로드 방식이라는 점이다. 청크별로 다운로드가 끝나지 않으면, 재생이 시작되지 않으므로 지연이 발생한다. 애플의 자료에서는 표준으로 30초 정도 지연이 있다고 적혀 있다. 12초의 청크로 회선이 허용하는 최대 화질로 영상을 재생하려면 '12x2+인코딩 시간'만큼 지연이 발생한다.

 

가장 큰 단점은 지원되지 않는 환경이 많다는 점이다. 특히, 데스크탑에서의 지원이 좋지 않다. 

 

6.0 MPEG-DASH 동영상 스트리밍 재생

HTTP 라이브 스트리밍은 애플이 제창한 방식이었지만, 다른 브라우저의 밴더는 더 폭 넓게 공통화할 수 있는 기술로서 수 많은 동영상 포맷을 배출한 MPEG 컨소시엄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자 했다. 

 

DASH는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의 약자로 HTTP를 사용해 동적으로 적절한 비트레이트로 스트리밍하는 방식을 뜻한다. MPEG-DASH가 목표하는 방향은 HLS와 거의 같고, HLS를 대폭 확장한 것이다. 

 

MPEG-DASH 또한 HTTP를 통한 점진적 다운로드를 핵심으로 하는 스트리밍 방식이다. 레퍼런스 구현으로서 video.js라는 라이브러리가 제공된다. 해당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면 브라우저에서 MPEG-DASH를 사용할 수 있다. 

 

6.1 MPEG-DASH와 HLS 재생 방법의 차이

HTTP를 통한 점진적인 다운로드를 핵심으로 하는 스트리밍 방식이라는 점에서 같지만, 대전제가 되는 재생 방법이 달라진다.

 

HLS는 HTML에서 재생한다기보다는 브라우저 자체에 HLS의 .m3u8 파일을 해석해서 재생하는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mac OS에서 미디어 플레이어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브라우저 이외에서도 재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MPEG-DASH도 브라우저 외의 뷰어가 있다. 레퍼런스 구현으로는 자바스크립트로 만든 동영상 플레이어 dash.js가 제공된다. 브라우저 자체에서 프로토콜을 직접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분석은 자바스크립트로 하고 동영상 재생은 브라우저의 코덱을 자바스크립트에서 다루는 API, HTML5 Media Source Extensions를 이용해 실시한다. 

 

애플은 제공하지 않지만, MPEG-DASH와 같은 Media Source Extensions을 사용해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도 HLS를 재생하는 동영상 플레이어도 이미 개발됐으며, 다양한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가 두 방식을 다 지원하고 있어 현재는 차이가 거의 없어졌다고 봐도 문제 없다. 또한, 2016년 WWDC에서 애플은 MPEG-DASH 측에 양보하는 발표를 했다. Fragmented MPEG4를 지원하고, 이를 통해 MPEG-DASH와 같은 미디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Reference

  • 리얼월드 HTTP

1.0 HTTP/2

HTTP/2는 데이터 표현이 HTTP/1.1와는 크게 달라졌다.

  • 스트림(1.1의 파이프라인에 가까운 것)을 사용해 마이너리 데이터를 다중으로 송수신하는 구조로 변경했다.
  • 스트림 내 우선 순위 설정과 서버 사이드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는 서버 사이드 푸시를 구현했다.
  • 헤더가 압축되게 되었다.

단 메서드, 헤더, 스테이터스 코드, 바디라는 HTTP가 제공하는 네 개의 기본 요소는 바뀌지 않는다. HTTP/2의 목적은 통신 고속화뿐이다. 물론 빠른 속도는 중요하지만, 지금까지 해당 책에서 설명한 내용은 현재도 변함이 없다.

 

HTTP/1.0 부터 HTTP/1.1에 걸쳐, TCP 소켓 수준에서 보면 아래와 같은 개선이 이루어졌다.

기능 효과
캐시(max-age) 통신 자체를 취소
캐시(ETag, Date) 변경이 없으면 바디 전송을 취소
Keep-Alive 액세스마다 연결에 걸리는 시간(1.5TTL)을 줄임
압축 응답 바디 크기 절감
청크 응답 전송 시작을 빠르게 함
파이프라이닝 통신 다중화

 

한 번의 통신이 연결되려면 접속 확립 요청을 주고받으며 몇 번씩 패킷이 오가게 된다. 이때 데이터 크기를 통신 속도로 나눈 시간만큼 통신이 걸린다. 통신 대기가 있으면, 그만큼 통신이 완료되는 시간은 길어진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고속화는 통신의 모든 부분에서의 고속화 기여했다. HTTP/2에서는 그동안 손보지 못한 헤더부 압축이나 규격화됐지만 여전히 활용되지 않은 파이프라이닝을 대체하는 구현이 추가됐다.

 

HTTP/2은 이전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프로토콜이므로, 반대로 하위 호환성 문제가 일어나기 어렵다. HTTP의 텍스트 프로토콜 내부에서의 버전 전환이 아니다. HTTP/1.1과는 전혀 다른 프로토콜로 취급되므로 파이프라이닝과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없다.

 

1.1 스트림을 이용한 통신 고속화

HTTP/2의 가장 큰 변화는 텍스트 기반 프로토콜에서 바이너리 기반 프로토콜로 변화했다는 점이다. 각 데이터는 프레임 단위로 송수신을 한다. HTTP/1.1까지는 하나의 요청이 TCP 소켓을 독접했기 때문에, 하나의 오리지널 서버에 대해 2~6개의 TCP 접속을 해서 병렬화했다.

 

HTTP/2에서는 하나의 TCP 접속 안에 스트림이라는 가상의 TCP 소켓을 만들어 통신한다. 스트림은 프레임에 따른 플래그로 간단히 만들고 닫을 수 있는 규칙으로 되어있고, 일반 TCP 소켓과 같은 핸드세이크는 필요 없다. 그래서 ID 값과 TCP 통신 용량이 허락하는 한, 손쉽게 몇 만번의 접속이라도 병렬화 할 수 있다. 각 접속 상태의 state machine이 정의되어 있으며, 비슷한 모델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HTTP/2 스트림 접속 스테이트 머신

 

TCP는 닫힌 상태로 LISTEN하다가, 클라이언트에서 접속 요청이 있으면 비로소 ESTABLISH(통신 가능) 상태가 된다. HTTP/2의 스트림은 처음부터 LISTEN과 거의 같은 IDLE 상태이고, 헤더를 받으면 즉시 통신 가능한 OPEN 상태가 된다. 즉 통신할 수 있을 때까지의 단계가 줄어든 것이다.

 

요소 크기 의미
Length 24 페이로드 크기
Type 8 프레임 종류
Flags 8  
R 1 예약 영역
Stream Identifier 31 스트림 식별자. 같음 값이면 같은 스트림
Frame Payroad Length로 지정한 길이 프레임의 실제 데이터

 

공통 헤더 목록 중 주목해야 할 것은 Stream Identifier이다. HTTP/2에서는 의사적인 소켓으로 스트림이 만들어진다. TCP 소켓상의 데이터를 봐도, 스트림이라는 실체가 있는게 아니다. 같은 Stream Identifier를 가진 일련의 프레임은 수신 시에 그룹화되며, '같은 스트림에서 나온 데이터'로 취급된다.

 

종류 데이터 선택적 데이터 설명
HEADERS 헤더 의존하는 스트림과 우선도, 베타 플래그 압축된 헤더, 우선도는 최초 헤더만 사용 가능
DATA 데이터    
PRIORITY 의존하는 스트림 우선도, 베타 플래그    
RST_STREAM 오류 코드   오류 정보를 반환하고, 스트림을 바로 종료
SETTINGS 식별자(16비트),
설정값(32비트)
   
PUSH_PROMISE 스트림 ID 요청 헤더 필드 서버 푸시 시작 예약
PING 8바이트 데이터   응답 속도 측정용 프레임, PING을 받으면 ACK 플래그를 설정해 반환
GOAWAY 최종 스트림ID, 오류 코드 추가 디버그 정보 커넥션을 종료
WINDOW_UPDATE 윈도우 크기 추가로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  
CONTINUATION   HEADERS/PUSH_PROMISE에 이어지는 데이터  

 

SETTINGS에서는 헤더 테이블 크기, 푸시 허가, 최대 병렬 스트림 수, 초기 윈도우 크기, 최대 프레임 크기, 최대 헤더 리스트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옵션은 공통 헤더의 Flags에 '이 데이터가 있어요'라고 지정한 비트가 켜지면 정해진 크기의 정보가 순서대로 프레임에 추가된다. 비트가 켜지지 않으면, 그 데이터는 프레임째 생략되므로 불필요한 데이터 때문에 데이터 길이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가장 작은 HEADERS 프레임

 

 

1.2 HTTP/2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HTTP/1.0은 단순히 데이터를 운반하는 상자였다. 그 뒤로 Keep-Alive, 파이프라이닝 등 하위 계층의 통신 처리에 영향을 주는 기능도 포함하기 시작했지만, 이 책에서 몇 번씩이나 언급하고 있는 메서드와 경로, 헤더, 바디, 스테이터스 코드라는 네 가지 기본 요소가 존재한다는 것은 변함이 없다. 하지만 메서드와 경로, 스테이터스코드, 나머지 스테이터스 코드에 포함되어 있던 프로토콜 버전은 모두 유사 헤더 필드화되어 헤더 안에 들어간다. 상위 애플리케이션에서 본 기능성에는 변경이 없지만, 구현상으로는 헤더와 바디만 있다.

HTTP/2의 바이터리화된 통신

HTTP/1.1은 텍스트 프로토콜이었다. 헤더의 종단을 찾으려면 빈 줄을 찾을 때까지 1바이트씩 미리 읽어 발견할 필요가 있었다. 오류 처리도 있고 서버로서는 해석까지 포함해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밖에 없으므로 고급 병렬 처리는 어렵다. HTTP/2는 바이너리와되어, 처음에 프레임 크기가 들어간다. TCP 소켓 레이어에서는 테이블 프레임 단위로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수신 측 TCP 소켓의 버퍼를 빠르게 비울 수 있고, 통신 상대에게 다음 데이터를 고속으로 요청할 수 있다.

 

바디는 Content-Length로 크기가 유일하게 정해지는 경우가 많고 청크 형식의 경우도 크기가 적혀 있기 때문에, 하나의 요청에 대한 로드 처리 비용은 다르지 않다. 그러나 요청이 여러 개일 때는 이야기가 다르다. HTTP/1.1에서는 청크 형식이라고해도 하나의 요청 중에 다른 요청을 처리할 수 없었다. 여섯 개의 TCP 세션으로 처리하더라도 무거운 응답이 여섯 개 있으면, 다른 통신을 전혀 할 수 없다. HTTP/2에서는 청크가 프레임으로 분할되어 있고 프레임끼리는 독립적이므로, 중간에 다른 프레임이 끼어들어도 문제가 없다.

 

 

1.3 플로 컨트롤

HTTP/2는 인터넷 4계층 모델 중 애플리케이션 층에 해당되지만, Transport 계층에 가까운 것을 내부에 가지고 있는 게 특징이다. 플로 컨트롤로 TCP 소켓과 거의 같은 기능을 구현했다. 물론 TCP가 패킷 순서 제어와 재전송 처리를 해주므로 구현은 단순하다. TCP 소켓과 HTTP/2 스트림의 관계는 OS 스레드와 그린 스레드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플로 컨트롤은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흐르게 하려고 이용되는 통신량 제어 처리이다. 통신 속도가 지나치게 차이 나는 기기의 조합으로 통신할 때 빠른 쪽이 느린 쪽에 대량으로 패킷을 보내버려 처리할 수 없게되는 사태를 방지하는게 목적이다. 이를 실현하고자 구체적으로는 통신하는 곳의 윈도우 크기 관리를 사용한다. 윈도우 크기는 받아들일 수 있는 빈 버퍼 크기이다. 기본 초기 윈도우 크기는 64킬로바이트이다. 손신하는 쪽은 상대방의 최대 버퍼 크기만큼 데이터를 보낸다. 수신하는 쪽에서 전송된 패킷을 처리하고 버퍼에 여유가 생기면, WINDOW_UPDATE 프레임을 이용해 새로 생긴 여유 버퍼 크기를 송신하는 쪽에 반환한다. 소신하는 쪽에서 이 통지를 받으면, 새로 생긴 여유 버퍼를 채울 만큼 이어지는 데이터를 보낸다. 

 

SETTINGS 프레임을 사용하면, 초기 윈도우 크기, 최대 병렬 스트림 수, 최대 프레임 크기, 최대 헤더 리스트 크기와 같은 속도에 관련된 매개변수를 조정할 수 있다.

 

1.4 서버 푸시

시맨틱스를 보면 HTTP/1.1과 HTTP/2는 거의 같지만, 서버 푸시로 불리는 기능만은 다르다. 서버 푸시를 이용해 우선순위가 높은 콘텐츠를 클라이언트가 요구하기 전에 전송할 수 있게 됐다. 단, 웹소켓처럼 양방향 통신을 실현하는 기술과 달리, 어디까지나 CSS와 자바스크립트, 이미지 등 웹페이즈를 구성하는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용도로 이용된다. 푸시된 콘텐츠는 사전에 캐시에 들어간다. 콘텐츠가 캐시에 들어간 뒤에 클라이언트가 그 파일을 요청하면, 곧바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채팅이나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공동 편집 작업을 할 때 다른 사람이 입력한 주석을 서버가 배포하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

 

1.5 HPACK을 이용한 헤더 압축

헤더는 HPACK이라는 방식으로 압축된다. HTTP 헤더는 정해진 이름이나 결과가 자주 출현하기때문에, 이를 외부 사전에 넣어두면 압축 후 크기가 작아진다. HTTP/2에서는 정적 테이블이라는 이름으로 사전에 빈번하게 출현하는 헤더 이름과 헤더 값을 테이블로 가지고 있다.

 

추가로 같은 커넥션에서 등장한 HTTP 헤더는 인덱스화되어 동작 테이블에 저장된다. 다시 등장할 때는 인덱스 값만으로 표헌할 수 있으므로 작은 크기로 송수신할 수 있다.

 

1.6 SPDY와 QUIC

HTTP/2의 역사를 말할 때 빠뜨릴 수 없는 것이 SPDY(스피디)이다. SPDY는 구글이 개발한 HTTP 대체 프로토콜로, 거의 그대로 HTTP/2가 되었다.

 

SPDY는 구글의 서비스 내부에서 사용됐고, 크롬과 파이어폭스,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파리에도 구현됐습니다. 구글의 강점은 대규모 트래픽이 일어나는 웹 서비스와 점유율이 높은 브라우저를 모두 가지고 있는 점이다. 자사 서비스와 자사 브라우저 간에서만 활성화되는 프로토콜이라도 대규모 검증 실험을 할 수 있다. SPDY는 2010년 크롬에서 구현된 뒤에도 업그레이드를 거듭하며 2014년에 HTTP/2에 바톤을 넘기고 그 역할을 마쳤다. 처음으로 SPDY가 구현된 크롬도 2016년 5월에 출시된 크롬51에서 SPDY를 무효화하고 HTTP/2로 단일화했다.

 

구글이 SPDY를 개발했던 이유는 그동안 HTTP가 개선해온 전송 속도를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웹사이트 구성에 따라 효과가 크게 달리지기에 도입 효과는 30%에서 세 배 이상까지 여러 수치를 들 수 있지만 병렬 접속으로 블로킹이 줄어들어 작은 파일을 많이 전송할수록 빨라진다.

 

'웹사이트의 자바스크립트, CSS, 이미지 등은 가급적 적은 파일 수로 정리하는 고속화 방식'이 HTTP/1.1 시대에 빠른 웹사이트를 만드는 일반적인 기술이었다. SPDY와 HTTP/2 이 후, 파일 정리의 효과는 작아진다. 압축이 되긴 하지만, 헤더의 크기는 0이 아니고, 파일 크기가 작아질수록 패킷의 틈새가 낭비되는 경우도 증가한다. 또한 결합하는 편이 여전히 통신량은 줄어들지만, 자잘한 편이 변경이 있을 때 캐시가 살아남을 확률이 높아진다.

 

SPDY는 어디까지나 HTTP와 같은 층인 TCP 소켓상에 구현됐지만, 구글은 한 층 더 빠르게 하려고 UDP 소켓상에 QUIC(퀵)이라는 프로토콜을 준비했다. TCP는 접속 초기에 여러번 통신을 주고받을 필요가 있다. 에러를 정정하거나 순서를 정렬하기 위해 수신 통지를 반환해야 하는 등 고기능인 만큼 성능은 다소 떨어진다.

 

TCP와 쌍이 되는 경량 프로토콜이 UDP이다. TCP에서 재전송 처리, 혼잡 제어 등 고급 기능을 제거해서 처음 접속할 때의 니고시에이션을 가볍게 한 프로토콜이다. 패킷 유실시 재전송 처리, 통신 경로 혼잡 시 제어 등 QUIC은 많은 기능을 자체적으로 구현했다. 

 

일반적인 HTTPS 통신에서는 TCP 핸드세이크를 실시한 후에 별도로 TLS 핸드세이크를 할 필요가 있어, 몇 번씩 왕복하며 패킷을 교환할 필요가 있었다. QUIC은 양쪽을 통합해, 더 적은 횟수의 통신으로 접속할 수 있다. 첫 접속에서도 1왕복 통신으로 니고시에이션하거나 재접속할 때는 니고시에이션 없이 0RTT로 재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스마트폰이 3G/4G 회선에서 와이파이 연결로 전환했을 때의 재접속도 원활하게 됐다.

 

QUIC이 뛰어난 점은 재접속과 첫 통신 비용뿐만이 아니다. 이외의 TCP와 다름없는 듯하지만, HTTP/2와 협조해 동작함으로써 두 계 층에서 중복됐던 테스크를 단순화했다. 예를 들어, 거의 같은 기능이 TCP와 HTTP/2 양쪽에 있던 flow control이 일원화 됐다. 패킷 순서 정렬화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층을 모르는 TCP는 모든 패킷을 우직하게 정렬하지만, HTTP/2에서는 스트림 단위로 필요한 만큼 정렬한다.

 

2.0 Fetch API

Fetch API는 XMLHttpRequest와 마찬가지로 서버 액세스를 하는 함수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이요되며,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다.

  • XMLHttpRequest보다 오리진 서버 밖으로의 액세스 등 CORS 제어가 쉬워진다.
  • 자바스크립트의 모던한 비동기 처리 작성 기법인 프로미스를 따른다.
  • 캐시를 제어할 수 있다.
  • 리디렉트를 제어할 수 있다.
  • 리퍼러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 Service Worker 내에서 이용할 수 있다.

Fetch API는 저수준 API로 소개되기도 하고 W3C사양에도 저수준이라고 적혀있다. 이 뜻은 캐시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2.1 Fetch API의 기본

아래는 Fetch API를 사용하는 예이다.

fetch("news.json", {
		method: 'GET',
		mode: 'cors',
		credentials: 'include',
		cache: 'default',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then((response) => {
		return response.json();
	}).then((json) => {
		console.log(json);
	})

기본 요소는 아래 네가지이다.

  1. XMLHttpRequest처럼 오브젝트를 만드는게 아니라 fetch() 함수를 호출한다.
  2. fetch() 함수의 두 번째 인수는 옵션 오브젝트 (생략 가능)
  3. .then() 함수에 서버 응답이 돌아온 후에 호출되는 콜백을 넘겨준다.(프로미스)
  4. .then() 에 넘겨주는 콜백이 다시 시간이 걸리는 처리를 하고, 그 처리가 프로미스를 반환할 때는 .then()을 연결한다.

Fetch API의 첫 번째, .then() 절은 응답의 헤더 부근까지 읽기를 마친 시점에서 호출된다. Fetch API는 다양한 자료형을 지원해서, 첫 번째 .then() 절 안에서 바디를 어떤 형식으로 가져올지 메서드 호출로 결정한다. 그 뒤 처리는 서버에서의 읽기를 동반하므로, 다시 .then() 절을 호출해 다운로드가 끝나기를 기다린다. 해당 예제에서는 JSON 형식으로 읽어들인다.

 

아래는 Fetch API로 이용할 수 있는 메서드이다.

대응 메서드 목록
CORS 안전 GET, HEAD, POST
금지 메서드 CONNECT, TRACE, TRACK

GET, HEAD, POST의 세 가지는 CORS 안전으로서 특별하게 취급된다.

 

아래는 Fetch API CORS 모드이다.

설정값 Fetch 기본 XHR 기본 설명
cors   O 다른 오리진 서버로의 액세스를 허용한다.
same-origin     다른 오리진 서버로의 액세스를 오류로 한다.
no-cors O   CORS 접속은 무시되고 빈 응답이 돌아온다.

 

쿠키 제한은 credentials에 설정한다. 설정할 수 있는 값은 아래와 같다. XMLHttpRequest의 경우는 withCredential 프로퍼티에 true를 설정하면 include를 설정한 것과 마찬가지가 된다.

 

아래는 Fetch API Credentials이다.

설정값 Fetch 기본 XHR 기본 설명
omit O   쿠키를 보내지 않는다.
same-origin   O 출처가 같은 경우에만 쿠키를 보낸다.
include     쿠키를 보낸다.

 

앱은 속도와 보안 향상이라는 두 방향으로 발전했는데, Fetch API는 후자에 해당한다. 기본으로 더 엄격한 설정이 선택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명시적으로 해제하는 설계로 되어 있다.

 

2.2 Fetch API만 할 수 있는 것

 

캐시 제어

Fetch API의 특징으로서 자주 소개되는 것이 캐시이다. 캐시는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no-store와 reload, no-cache를 사용하면, 캐시 상태와 상관 없이 강제로 요청이 발생한다. 이 가운데 no-cache의 경우는 캐시에 대한 정보를 보내므로, 바디가 송신되지 않은 채 304 Not Modified를 수신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캐시를 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force-cahce와 only-if-cached이다. Max-Age 헤더로 지정한 기한이 다 되어도 적극적으로 캐시를 사용한다. 후자는 캐시가 없으면 오류가 발생하고 외부로의 요청은 일어나지 않는다.

아래는 Fetch API 캐시 제어이다.

설정값 기본 설명
Default O 표준적인 브라우저 동작을 따른다.
no-store   캐시가 없는 것으로 해서 요청한다. 결과도 캐시하지 않는다.
Reload   브라우저 새로고침과 같이 캐시가 없는 것으로 해서 요청한다. ETag 등은 보내지 않는다. 캐시 가능하면 결과를 캐시한다.
no-cache   기한 내의 캐시가 있어도 HTTP 요청을 보낸다. 로컬 캐시의 ETag 등도 보내고, 서버가 304를 반환하면 캐시한 콘텐츠를 사용한다.
force-cache   기한이 지난 캐시라도 있으면 이용한다. 없으면 HTTP 요청을 보낸다.
only-if-cached   기한이 지난 캐시라도 있으면 사용한다. 없으면 오류가 발생한다.

 

리디렉트 제어 

아래는 Fetch API 리디렉트 제어이다.

설정값 기본 설명
follow O 리디렉트를 따라간다. (최대 20 리디렉트까지)
manual   리디렉트를 따라가지 않고 리디렉트가 있다는 것만 전달한다.
error   네트워크 오류로 한다.

manual 지정 시 리디렉트가 있으면, 응답 자체가 아니라 응답을 감싸 필터링된 결과를 응답으로서 반환한다. 이 응답은 type 속성에 opaqueredirect라는 문자열이 들어있는 이외의 정보는 필터링되어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 리디렉트 도중에는 보안상 누설돼선 곤란한 URL이나 헤더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바디는 null로 상태도 0이고 헤더도 얻을 수 없으므로, 실질적으로 '리디렉트가 있었다'는 것밖에 모른다. error와 달리 오류가 되지 않는 정도의 의미이다.

 

Service Worker 대응

Fetch API로는 할 수 있고 XMLHttpRequest로는 할 수 없는 잡다하게 있지만, 가장 큰 일은 Service Worker 대응일 것이다. 현재 Service Worker 내에서 외부 서비스로 접속할 때는 Fetch API만 사용할 수 있는 사양으로 되어 있다.

 

웹이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성을 지닐 수 있게 하려는 노력이 구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런 노력의 하나로서 애플리케이션의 생애주기와 통신 내용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Service Worker가 개발됐다. Service Worker는 웹 서비스의 프론트엔드 자바스크립트와 서버 사이에서 동작하는 중간 레이어이다.

 

3.0 server-sent events

server-sent events는 HTML5의 기능 중 하나다. 기술적으로는 HTTP/1.1의 청크 형식을 이용한 통신 기능을 바탕으로 한다. 청크 형식은 거대한 파일 콘텐츠를 작게 나누어 전송하기 위한 통신 방식이었다. 청크 형식의 '조금씩 전송'한다는 특징을 응용해, 서버에서 임의의 시점에 클라이언트에 이벤트를 통지할 수 있는 기능을 실현했다. 

 

HTTP는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을 서버로 보내고, 서버가 요청에 대해 응답하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이다. 통신의 시작은 클라이언트가 결정하고 , 클라이언트가 1회 요청하면 1회 응답이 발생하는 것이 기본 구성이다. 서버에서 정보를 돌려보내는 방법으로는 4장에서 소개한 코멧이 있다. 클라이언트에서 정기적으로 요청을 보내 서버 이벤트를 검출하거나 요청을 받은 상태에서 응답을 보류하는 방법이 자주 사용됐다. 

 

server-sent events는 코멧의 롱 폴링과 청크 응답을 조합해, 한 번의 요청에 대해 서버에서 여러 이벤트 전송을 제공한다. 검증된 청크 방식을 사용하므로, 프록시 지원도 포함해 하위 호환성에 문제는 없다. 

 

server-sent events는 청크 방식을 사용하지만, HTTP 위에 별도의 텍스트 프로토콜을 실었다. 이는 이벤트 스트림으로 불리며, MIME 타입은 text/event-stream이다. 

아래는 text/event-stream 예제이다.

id: 10
event: ping 
data: {"time": 2016-12-26T15:52:01+0000}

id: 11
data: Message from PySpa
data: #eng channel

텍스트의 문자 인코딩은 UTF-8이다. 데이터는 태그 뒤에 기술한다. 아래와 같이 네 종류의 태그가 있고, 빈 줄로 데이터를 구분한다. 

태그 종류 설명
id 이벤트를 식별하는 ID. 재전송 처리에서 이용된다.
event 이벤트 이용을 설정한다.
data 이벤트와 함께 보낼 데이터
retry 재접속 대기 시간 파라미터 (밀리 초)

자바스크립트 쪽에서는 server-sent events에 EventSource 클래스를 써서 액세스한다. 이 클래스는 이벤트 스트림을 해석하거나 접속이 끊겼을 때 재접속한다. 

 

4.0 웹소켓

웹소켓은 서버/클라이언트 사이에 오버헤드가 적은 양방향 통신을 실현한다. 통신이 확립되면 서버/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일대일 통신을 수행한다. 프레임 단위로 송수신하지만, 상대방이 정해져 있으므로 전송할 곳에 관한 정보는 갖지 않는다. HTTP의 기본 요소 중에서 바디만 보내는 것과 같다. 프레임은 데이터 크기 등을 가질 뿐 오버헤드도 2바이트에서 14바이트밖에 안된다. 통신이 시작되면 양쪽에서 자유롭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4.1 웹소켓은 스테이트풀

웹소켓이 HTTP 기반 프로토콜과 다른 점은 '스테이트풀 통신'이라는 점이다. HTTP는 속도를 위해 Keep-Alive 등의 복잡한 메커니즘도 갖추게 됐지만, 기본적으로 요청 단위로 접속이 끊어져도 시맨틱스 측면에서는 문제가 없다. 로드 밸런서(ELB)를 이용해 서버 여러 대에 분산해두고, 요청할 때마다 다른 서버가 응답해도 된다. Server-Sent Events도 전송한 ID를 일원적으로 관리해서 보증할 수 있다면, 요청을 다루는 서버가 바뀌더라도 이상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

 

웹소켓을 사용할 때 서버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가진 상태로 통신하는 케이스가 많을 것이다. 문자 채팅과 같은 유스케이스에선 단일 서버에 모든 브라우저가 접속할 뿐만 아니라, 멤캐시나 레디스를 중계해서 부하를 분산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여러 사람이 실시간으로 동시에 플레이하는 게임처럼 부하 분산에 따른 지연을 허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들어, 채팅이면 '대화방' 단위로 커넥션을 온 메모리로 관리한다. 이런 경우 일단 접속이 끊어졌을 때 재접속은 이전과 같은 서버로 연결할 필요가 있어, 단순한 HTTP 기반 로드 밸런서를 사용할 수 없다. 웹 소켓 운용 시에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를 지정해 재접속할 수 있도록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지 않은 채 운용하는 사례도 볼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TCP 수준의 로드 밸런서를 구사하는 웹소켓 대응 로드 밸런서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5.0 WebRTC

WebRTC는 이제까지 소개한 프로토콜과는 아주 다르다. 지금까지는 브라우저와 서버의 통신에 이용되는 프로토콜이었다면, WebRTC는 브라우저끼리의 P2P 통신에도 사용된다. RTC는 Realtime Communication의 줄임말로 화상 전화 등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하는 기반으로서 설계됐다. 

 

통신 기반에 사용하는 transport 계층은 재전송 처리를 해주는 TCP가 아니라 오류 처리나 재전송 처리를 하지 않는 UDP를 메인으로 사용한다. P2P 통신이므로 상대 브라우저를 찾는 시그널링, 라우터 내부의 사설 주소만 있는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브라우저를 위해 NAT을 넘어 사설 주소만으로 통신할 수 있는 기술도 사용된다.

 

WebRTC 프로토콜의 자세한 설명은 "High Performance Browser Networking"을 참조하자.

 

6.0 HTTP 웹 푸시

HTTP 웹 푸시는 웹사이트에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구조이다. 브라우저가 없는데 통신할 수 있는 것은 Service Worker에 있다. Service Worker 프론트엔드 브라우저의 HTML 랜더링 기능으로 웹 서버와 프론트엔드 중간에 있는 프록시 서버와 같은 존재다. addEventListener() 이벤트 핸들러를 등록하여 필요할 때만 실행된다. 

 

 

 

 

 

 

 

 

 

Reference

+ Recent posts